카테고리 없음2020. 4. 4. 12:48

매일 아침 씨앤앤을 본다. 여기 아침은 저쪽의 저녁. 매일 저녁 트럼프 아저씨는 코로나의 하루 보고를 하면서 씨앤앤 기자에게 면전에서 윽박지르고 심술을 떨고 나몰라라 한다.  오늘 아침에는 그이 말에 곧잘 쌍지팡이를 들고 나서는 아저씨가 안나왔다.  한 기자가 그 쌍지팡이가 왜 오늘 안나왔느냐고 물으려고 하자, "나에게 쌍지팡이가 왜 오늘 안보이냐고 묻지 말라. 우리는 잘 지내고 있다"며 그의 말을 잘라 버렸다. 대통령인 자신의 권위에 누군가가 먼지를 날리면 그 꼴을 못본다. 만약에 우리나라 대통령이 기자들 앞에서 저런 행동을 했다면 -- 아마 벌써 태극기와 성조기와 일장기및 각종 나라 깃발로 무장한 세력에 의해서 일찌감치 교도소로 보내졌을 것이다.  미국 대통령은 참 당당하시다.  

 

 

어쨌거나 오늘은 화제는 '마스크'였다.  기자들이 '마스크 쓸 필요 없다더니 왜 마스크 쓰기를 슬그머니 권장하는건가?' 이런 류의 질문을 던지자 트럼프 아저씨는 -- 나는 개인적으로 아직 마스크 안써도 된다고 생각해. 지금은 그래. 나중에 내가 변할수도 있겠지 이런 식으로 얼버무렸고 곧바로 Center for Disease Control 에서 유니폼을 입은 남자가 나와서 설명을 했다. 

 

 

그는 말을 참 정확히 잘 했다. 그래서 나도 '저 사람 참 또박또박 말을 잘한다 생각하고 호감을 갖고 그의 발표를 보았다.  

 

 

그의 설명인즉슨,  --- 그래 인정한다. 우리가 과거에 질환도 없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분명히 말한바 있다.  그런데, 우리는 '데이타 (과학적 근거 자료)'에 입각해서만 일을 한다. 과거에는 마스크 미착용에 대한 어떠한 데이타도 없었다.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의료용 마스크는 병원으로 보내고 일반인들은 건강한 사람이라도 나와 상대를 보호가기 위한 차원에서 헝겊 마스크를 쓸 것을 권유한다. 왜냐하면 감염자 중에 무증상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증상이 없으니 모르고 돌아다니다가 남에게 전파를 하므로 -- 대략 이런 말이었다.

 

 

 

그의 말을 들으며 나는 실소 했다.  '상식적으로 생각을 좀 해보셔. 마스크 써서 손해 볼 것은 없지 않은가. 그리고 상식적으로 종이로라도 내 입 가리고 남의 입 가리면 위험이 줄어들을수는 있지 않은가. 그걸 꼭 시체가 쌓여서 냉동고도 부족하고 앞으로도 얼마나 더 죽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되어서야 -- 그제서야 데이터가 충분히 쌓였으니 "그럼 이제부터" 라고 한다는 말인가? 당신들은 예측은 못하나? 오직 시체가 쌓여야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스크 얘기를 하는가?

 

 

순진하고 맹목적이고 단순한 Dataism 의 문제는 그들이 눈에 보이는 데이타만 들여다보다가 더 큰 데이타, 보통 사람들이 감지하는 데이타 -- 인류가 진화하면서 쌓아온 본능적인 데이타에는 눈이 멀어버린다는 것이다.  미신적인 상상도 문제지만 과학에 기대어 과학이 답을 주지 않으면 절대 생각 안하고 판단 안하고 시체가 쌓이기를 기다리는 데이타 맹신도 문제다.  미국 씨디씨는 바로 그 -- 바보짓을 여태 하고 있었지 싶다. 그런데 그 판단착오로 지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는지, 감염되고 있는지, 국가의 격이 떨어지고 있는지, 좀 깨달았으면.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4. 4. 10:00

내가 관리하는 팀에서 평소에 나를 많이 도와주는 젊은 미국인 교수가 창가에서 화분을 다듬고 있는 내게 다가왔다. 요즘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넓직한 학교 복도에서도 우리들은 서로 없는 사람처럼 멀찍이서만 손을 흔들어 인사를 하는 편인데 그가 내게 다가왔다. 

 

 

"나 내일 뉴욕으로 돌아가기로 해서 인사하러 왔어." 

 

 

학교측에서는 봄학기말까지 온라인 수업이므로 미국집으로 가서 수업을 진행할 사람들은 '수업에 차질이 없는한' 자유롭게 돌아가도 좋다는 안내를 이미 한 바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 돌아가겠다고 짐을 싼 미국인 교수들은 많지 않다.  한국이 미국보다 더 안전하니까. 하하하).  

 

 

그 친구에게는 연로하신 부모님이 계시는데, 두 분 다 병약하시다. 평소에도 아버지, 어머니가 응급실에 가셨다는 이야기를 종종했다.  그런데 하필 뉴욕이 코로나의 지뢰밭처럼 되어버린 상황이 되니 '효녀심청'같은 이 친구가 부모님을 돌봐드리러 가야만 한다는 것이다.  미국행 비행기 델타는 텅텅비어 운항하는데 값은 전과 마찬가지라고 한다. 그나마 다행이다. 가자마자 2주간 격리도 해야 한단다. 그래야하겠지. 

 

 

"너 마스크는 좀 챙겼어?"  내가 묻자, 애매한 표정으로 몇개 정도는 있다고 한다. (미국 사람들은 왜 마스크를 안할까? 우리학교 학장님은 나를 '마스크 귀신 할멈'으로 생각을 하는 눈치다. 사사건건 마스크 안하고 막 남의 연구실 드나들고 그러는거 못하게 공지해달라고 그러고, 늘 마스크를 하고 돌아다니며 신경질적으로 구니까 -- 내가 뭔가 상의하기 위해서 저만치서 다가오는 것을 발견하면 부랴부랴 자기  책상에서 마스크부터 꺼내 쓴다. 심지어 농담으로 이메일 끝에 인사 대신에 I will wear the facemask!  이런 말을 붙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복도에서 서로 발견했을 때 나는 마스크를 쓰고 있고, 그는 안쓰고 있다. 습관이 무섭지.)  

 

 

그래서 일하다 말고 학교 앞 상가로 뛰어가서 빨아 쓸수 있는 헝겊 마스크 네장 (한군데서 두장씩만 판다고 해서 두군데 들러서 네장 사고), 열장 들어있는 일회용 종이마스크 한봉지, 손 소독제, 소독용 물티슈 뭘 골고루 '구호물자'를 한보따리 사서 크리스마스 선물처럼 가져다 주었다.  "미국가면 손세정제 구하기도 힘들고, 마스크는 아예 찾아보기도 힘들다고 하니까, 가능한 헝겊 마스크를 매일 빨아쓰도록 하고..."  내가 주섬주섬 '안전수칙'을 설명해주는데, 그 젊은 교수의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하다.  너무 고맙단다. 그래서 말해줬다, "내가 너하고 같은 상황이 되었다면 - 너도 나에게 이렇게 했을거쟎아.  가을학기에 무사히 돌아오기만 해라. 혹시 뭔가 급히 필요하면 연락해, 여기서 구할수 있는것은 바로 부쳐줄게." 

 

 

 

내가 어릴때는 '미국' 사람은 천국에서 온 사람들인줄 알았다. '미국'은 이세상 어딘가에 있는 '천국'같은 나라인줄 알았다. 동화책 속의 궁궐같은 나라가 미국인줄 알았다.  나는 그래서 영어를 열심히 익혔다. 영어를 하면 천국에서 온 미국 사람과 대화를 할 수도 있고, 그런 나라에 가 볼수도 있을것 같았다.  영어 속에는 그런 요소들이 다 들어있는 것 같았다. 달콤한 상상이었다. 내 또래 사람들은 대체로 이런 비슷한 상상을 했을 것이다.  미국은 그대로 거기 있는데, 한국이 부쩍부쩍 자란 것이다. 한국 사람들, 정말 잘 살아낸것 같다.  나는 여전히 미국을 좋아한다. 아름다운 땅이고 좋은 사람들도 많이 살고. 미국이 아프니 나도 마음이 아프다.  여름방학때 미국 입국이 가능할까 모르겠다.  (그런데 트럼프 아저씨가 풀어주는 긴급 생활지원비 뭐 그런거, 그거 내 계좌에도 들어올거라고 찰리가 알려주었다. ㅋㅋㅋ)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4. 4. 09:37

코로나가 우리 삶의 양상을 바꾸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전쟁상황이 우리 삶을 바꾸듯 전지구적 유행병이 우리 삶의 여러가지 장면에 영향을 끼친다. 

 

 

매 학기초에 맞추어 주요 수학, 과학 관련 교양/전공 과목에 필요한 '조교' 적정 인원을 선발하고 그들의 활동을 관리하는 것이 수업외에 내가 책임져야 하는 보직인데, 이번 학기는 온라인으로 시작되었으므로 '조교'가 활동할 영역이 없어졌다.  교실 개강을 할 때까지 조교는 유명무실해진 것이다. 필요 인원을 이미 선발해 놓았지만 필요가 없어졌으니, 조교들은 교실 개강까지 한없이 기다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덕분에) 내가 관리해야 할 한가지 일이 없어진 것이기도 해서 - 잘 만하면 나는 오히려 편해지는것이 아닐까?  이런 악마의 속삭임이 나를 잠시 미소짓게 하기도 했다. 

 

 

그런데, 조교로 선발된 학생 한명이 내게 진지한 이메일을 날렸다.  온라인 수업으로 학생들은 누군가의 도움이 더욱 필요해졌다.  수업중에 직접 교수에게 질문하거나 조교를 찾아와 묻거나 배우거나하는 그런 생생한 학습보조가 사라진 것이다. 그래서, 그 조교는 '월급 안받아도 좋으니, 대면하면 안된다고 하니, 온라인으로라도 자원봉사로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는 메시지였다.  자기에게 온라인 조교 시스템을 구축할 아이디어가 있으니 무보수라도 (허락만 해 주신다면) 시스템을 구축하여 봉사하고 싶다는 것이다. 

 

 

여러가지 일로 복잡한 상황이었던 나는 그 순간, 잠시 '지금 나 골치 아픈데, 이 친구는 왜 없는 일을 저지르려고 하지?' 이런 생각을 했다. 만사가 성가시고 피곤하구만... 하지만 새벽 기도중에, 온세상이 잠들어있고 내가 혼자 깨어 하느님 앞에 머리를 조아리고 졸고 있던 그 순간 나는 생각했다. 메시지가 왔으니 따르는 수 밖에.  그래서 기도를 마치고 즉시 답을 했다.  조교가 일을 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보수를 받아야지 왜 무보수인가. 활동을 시작하게 되면 보수를 받는 것이 마땅하지. 내가 움직여보겠노라. 

 

 

학교는 학생의 아이디어를 전폭 지지했고, 주말 (토/일)에까지 관계자가 출근하여 일을 삽시간에 처리했으며, 아이디어를 냈던 조교와 나는 갑작스럽게 매뉴얼을 만든다-동영상 안내 자료를 만든다-전체 회의에서 발표를 한다-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확인한다는 둥 번갯불에 빌딩한채 올리듯 분주한 며칠을 보냈다.  그리고, 벌써 한달이 지나서, 온라인으로 도움을 받으려는 학생들의 숫자가 늘어나고, 조교들은 내게 한달간의 활동 상황 보고서를 보내왔고, 한달치 봉급을 받게 되었다.  학교는 조교들의 활동에 매우 기뻐했다, 학생들이 반응이 좋았으므로.  아이디어를 내고 시스템을 만들어낸 조교 외에 다른 조교들은, 조교채용을 위한 인터뷰 때 얼굴 본 것외에 따로 볼 시간이 없었다. 코로나 사태 때문에.  그들은 멀리 각자의 집에서 공부와 일을 하고 있다.  그래도 우리들은 긴밀히 대화하여 일을 진행하고 있다. 여러가지 언라인 도구들 덕분이다. 

 

 

지진도, 전쟁도, 유행병도, 그 무엇도 사회적동물인 인간의 진보를 막아 설 수는 없다. 설령 대 재앙으로 지구에서 인간이 멸절되는 상황이 온대도, 그 순간까지도 인간은 사회적으로 움직이며 서로 도울것이다.  아이디어를 내는 자와, 귀담아 듣는 자와, 협조하고 후원하는 자와, 도움을 얻고 다시 도움을 되갚는 인간들이 지키는 사회는 하늘의 별보다 아름다워보이기도 한다.  우리들은 모두 반짝반짝 빛나는 별들이다.  코로나가 그것을 일깨워준다.  코로나.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4. 1. 09:53

지난 2월 마지막 주에 입학식도 생략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개강하여, 3월 9일에 오프라인 수업 시작한다는 전제로 '임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다가, 오프라인은 4월 6일로 미룬다고 할 때에도 '한 달 기다리면 정리 되겠지'라는 희망으로 지내왔다.  그런데, 정작 미국에서 핵폭탄급 코로나 사태가 터지는 바람에 본교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던 수업을 온라인으로 모두 전환하면서 - 게다가 한국 정부에서도 국내 공립학교 수업 개강을 연기함에 따라 우리 학교에서도 아예 봄학기 전체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는 최종 결정이 나왔다.  

 

 

 

상황을 살펴보면 4월 6일에 교실 수업하는것이 위험하겠다 싶어서 연기 될것은 짐작을 하고 있었지만 아예 봄학기 전체를 통째로 온라인 수업 진행한다고 하니 나 역시 망치로 가슴을 한대 얻어 맞은것 같은 통증을 느낀다. 

 

 

 

물론, 해야지. 그런데, 그러면 이제 막 대학에 들어온 신입생들이 봄학기 내내 새 친구들도 못 보고, 교수들도 못 보고, 그냥 방구석에서 온라인으로 수업듣고 과제 올리며 청춘을 보내는구나.  젊음의 한 때가 방구석에서 흘러가는구나. 이런 느낌이 들면서 온라인으로만 얼굴을 봐서 실제로 찾아와도 내가 알아보기도 힘든 내 학생들이 '무작정' 그리워진다.  나도 너희들이 보고싶구나.

 

 

 

벌써 6주가 끝나간다. 내일 수업 분량을 오늘 찍어 올리면 나의 온라인 수업 6주가 마무리된다. 이런 식으로 앞으로 10주를 더 하면 학기가 끝난다. 뭐, 여태까지 잘 해 왔으니 앞으로도 지금처럼 하면 되겠지. 

 

 

 

내가 매일 (월-목) 하는 일:

 

1. 블랙보드에 '오늘 해야 할 일' 리스트 및 어디에 어떤 과제를 올려야 하는지 상세한 안내문을 올린다. 

 

 

 2. 데스크탑 내장형 카메라 오디오 앞에 앉아 오늘 핵심 내용 안내를 찍어 올린다. (학생들이 안듣고 그냥 지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에 반드시 질문을 던지고 안내를 하여 비디오를 안보면 숙제를 못하게, 그래서 반드시 비디오를 보게 만든다.) 그대신  학생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매일 다른 옷을 입고, 종종 장소를 옮기며 녹화를 한다. 이 경우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그냥 바로 유튜브에 올려버리거나,  랩탑을 들고 나가 촬영을 하기도 한다. 내가 가진 모든 기기가 활용된다.  그래서 자그마한 '조명기'까지 장만했다.   학생들이 캠퍼스 이곳저곳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장소를 바꾸는 것이다. 

 

 

3. Zoom으로 45분간 수업을 진행한다. 출석을 체크하여 통보한다 (출석 안하면 감점 된다는 것을 알수 있도록).  학교 블랙보드에도 온라인 미팅 툴이 있긴 한데, 과부하가 걸리는지 가끔 잘 안된다. 그래서 줌을 사용하는데 줌이 더 빠르다. 

 

 

4. 학생들은 하루 평균 세가지 과제를 꼬박꼬박 올려야 한다.  --> 나는 그것을 모두 평가/채점하여 피드백을 줘야 한다. 숙제하는 학생들보다 그것 매일 채점하고 피드백주는 교수가 훨씬 더 고생이다.  오프라인으로 교실에서 수업이 진행된다면 돌아다니면서 현장에서 '잘하는지 못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간단한 것도, 온라인 상에서는 과제로 내고 평가를 해야 한다.  이것이 고된 일이다. 그래도 매일매일 채점하고 피드백을 준다. 왜냐하면, 피드백이 생생해야 학생들이 '교수가 어딘가에 살아있고, 내가 하는 것을 보두 살펴보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이메일로 질문 오는것을 일일이 답하는것이 너무 힘이 들어서 -- 고민하다가 카카오톡 단톡을 열었다. 모든 질문은 그쪽으로 하도록 유도했다. 처음에는 학생들이 질문 하는것을 꺼리더니 요즘은 자유롭게 질문을 한다.  열명의 학생이 각자 이메일로 똑같은 질문을 하면 나는 열번의 똑같은 답을 보내야 하지만, 이제는 그냥 누군가의 질문을 다른 학생들도 읽고, 그러므로 많은 질문들이 생략된다.  숙제 피드백 보내다가 좋은 샘플이 나오면 바로바로 사진 찍어서 카톡방에 올려서 모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수업중에 구현 할 수 있는 것을 카톡방으로 바로바로 할수 있다.  하루 24시간 아무때나 질문에 간단히 답 할 수 있는 것도 좋다. 

 

 

6. 별도로 개인적인 Zoom 미팅도 요청이 들어오면 열어서 상담을 해준다. 교실 수업이라면 수업 전/후에 남아서 개별적으로 간단히 묻거나 개인상담이 가능한데, 온라인으로는 그런 캐주얼한 상담이 불가하니 간단히 ZOOM으로 대체. (게다가 놀라운 일. 줌은 착한 회사구나... 무료 계정은 45분까지 사용하고 다시 열거나 해야 했는데, 오늘부터 공지가 떴다. 학교 사정을 생각해서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학교와 선생님들을 위해서 시간 제한을 없앴다고.  이 기회에  잔 돈 뜯을 궁리를 하는게 아니라 더 큰 사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통크게 행동을 하는구나. 사업은 이렇게 해야.) 

 

 

 

하루 75분 수업을 월-목 4일간 진행하는데 (6학점짜리 과목), 내가 하루 75분의 수업을 위해 보내는 시간은 하루 온종일 10 시간 가까이 된다.  (내가 따로 개인 연구할 시간도, 책 볼 시간도 없이 매일 온라인 수업 자료 연구하여 만들어 올리는데 보낸다.)  내가 6학점만 해도 이런데, 다른 3학점 짜리 서너 과목 가르치는 분들은 이렇게 하시기 힘드실 것이다 아마. 기술이 안되는 분들도 괴로운 것이다. 나는,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기술은 다른 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조금 앞선 수준이다.  기술이 많으면 아이디어도 많아서, 그것을 다 구현하느라, 스스로 지치도록 일하는 편. 

 

 

코로나때문에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직장을 잃고, 수입원이 끊기고, 그래도 희망을 갖고 열심히 마스크 끼고 협조하며 지내고 계시니, 나로서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 하는것이 이 난국을 헤쳐나가는 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매일 컴퓨터 화면에서만 작게 보이는 내 학생들을 나는 만나 볼 수 없다. 보고 싶다.  

 

 

 

다음학기에 그들중 몇명이 내 수업에 들어온대도, 나머지 학생은 알아보지도 못하고 흘러가겠지. 

 

오늘은 학생들에게 이런 얘기를 해 주고 싶다: 상상해보라, 우리가 우주선을 타고 먼 우주를 항해하면서 수업을 한다고 상상해보라. 우리들은 우주복을 입고 화면을 통해 서로를 학인하며 지식을 쌓아가는거다. 언제 만날지 기약할 수 없지만 우주인인 우리들은 매일 서로를 확인하고 지식의 탑을 우주에 쌓는다.  우리 그런 믿음으로 오늘도 과제를 해 나가자. 언젠가는 만나게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대학 교수님들은 온라인 수업이 난감하시면, 적극적으로 학교 IT 센터에 묻고, 관련 부서에 도움을 요청하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그냥 해보시길.  동료교수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 역시 두려워하지 마시길.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 뭘 해도 뭐가 망가지는 일은 없으니 그냥 해 보시길. 가장 무서운 적은 -- 나의 무능이 아니고, 나의 두려움.  두려워하지 않으면 상황은 장악이 되는 편이므로. )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3. 26. 15:01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961043

 

‘1박2일’ 김종민, 무인도 탈출 위해 두뇌 풀가동

김종민이 멤버들의 운명을 두고 두뇌를 풀가동한다.   3월 22일 저녁 6시 30분에 방송되는 KBS 2TV 1박 2일 시즌4(이하 1박 2일)에서는 무인도를 탈출하기 위한 멤버들의 고군분투와, 최후의 1인을 맞히는 김종민의 추리가 펼쳐지며 흥미진진함을 자아낸다.   지난 방송에서는 자연 친화적 캠프인 ‘부시 크래프트’에 도전한 멤버들의 무인도 체험기가 공개됐다. 또한 현대 문명의 품으로 돌아오게 된 김종민과 ‘프리미엄 무인도’ 행에 당첨된 김선호의 운명

www.newstomato.com

 

사실 우연히 뉴스 보면서 채널 넘기다가 보게 된 프로그램이다. 출연하는 사람들이 내게는 모두 낯설고, 선호하거나 특별히 싫어하는 사람도 없다. 그냥 멀거니 아무 생각없이 딴생각 하면서 - 라디오 틀어놓고 멍하니 있듯이 그냥 그러고 있을 뿐이었다.

 

상황은 서해안 외딴 무인도에서 출연자들이 경쟁하여 무인도에서 필요한 아이템을 구하고 있었는데, 뭔가 라면이나 뭔가를 얻어내기 위해서 방송 스탭들과 거래를 하는것 같았다. 

 

누군가의 입에서 '거래'를 위해서 이런 말이 튀어 나왔다. 연정훈 이라는 사람이 아주 예쁜 여배우와 결혼하여 그들중에서 '삼대 도둑중 한명'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여자가 물건이니? 연정훈이 부인은 연정훈이 도둑질한 물건이니?)

 

그런데 가수로 추정되는 두 사람중에서 (딘딘하고, 뭐라더라, 젊은 가수인데 기억이 안난다) 연정훈에게 하는 소리를 들었다.

 

그놈이 연정훈에게: "여배우 소개시켜 준다고 해"

(연정훈 무응답, 뚱뚱한 개그맨은 대꾸 안함)

그 젊은 가수놈이 다시:"여배우 누구 좋아하는지 물어봐."

 

그러니까 그 알수없는 '딘딘'이나 또다른 '젊은 가수놈'이 연정훈에게 '여배우를 소개시켜준다는 구실로 아이템을 얻어라' 뭐 그런 뉘앙스로 하는 짓거리였다. 나 문득 '정준영'이라는 양아치께서 아직도 저거 하나? 의심했었다. 

 

그때 - 잘 하면 여배우를 소개 받을수도 있었을 남자 스태프가 순진한 표정으로 말했다, "저 결혼했습니다."  거 참, 성실하게 생긴 평범한 외모의 남자였지만, 그 사람의 순진한 표정이 강하게 인상에 박혔다.

 

그리고 이제부터 제대로 욕을 하겠다.

 

저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XX들이 멀쩡한 유부남을 대상으로 방송에서 겁도 없이 '여배우 소개 시켜줄게 아이템 줘라,' '어떤 여배우면 되느냐' 뭐 이런 짓거리들을 하고 있었던거다. 그리고 방송에서는 이걸 여과없이 그대로 노출시키고는 희희낙락 까부르고 있었던거다.

 

에이 이 버러지같은 XXX, 그대 눈에는 여배우들이 너희들 라면 한두개에 거래되는 존재들로 보이니?

 

그리고 이 버러지같은 KBS XX, 그대들은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도무지 가늠이 안되시고 계시온지요.  그대들같은 XX들하고 조 주빈이하고 뭐가 다른지 나는 전혀 차이를 모르겠나이다 이 XX들. 장자연이가 그대들 같은 XX들 때문에 죽었고, 지금도 여성 연예인들이 목숨을 끊고 있고, 텔레그램 방에서는 여자 아이들이 강간을 당하는 이유가 바로 그대들같은 XX들이 방송에서 설치고, 방송 만들고, 방송 심의하고 그래서다.  조주빈 일파만 나쁜놈 같지? 버젓이 저따위 소리를 방송에 내보내는 그대들이 더 위험해 내 눈에는. 텔레그램은 안쓰면 그만인데, 일박이일은 남녀노소 다 보는거쟎아. 저런XX들이 나오는 방송은 없어져야 마땅하다. 저런거 만드는 XX들도 조주빈과 함께 사라지기 바란다. 부탁드린다.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3. 19. 12:14

미래한국당 공관위는 19일 회의를 열어 ‘5명 이내 비례후보 순위 조정’이라는 안을 확정할 예정이었다. 공병호 미래한국당 공관위원장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오늘 완전히 마무리하고 봉합을 다 하고 내일부터 새 출발 하는 계획”이라며 “21번이었던 윤주경 전 독립기념관장은 3번으로 배치됐다”고 말했다.

 

 

역겹다. 할아버지 이름 팔아 정치판 기웃거리는 사람이여.  아빠 챤스는 절대 안되는 한국에서 할아버지 챤스는 오케이? 그럼 숙명여고 애들은 아버지 잘 만나 성적 좀 올랐는데 왜 문제가 되는건가?  조국 딸은 아버지 잘 만나 저 꼴인데 왜 문제가 되는건가? 쟤들은 안되고 '할아버지 팔아 먹는 손녀딸'은 괜챦고?

 

 

 

윤봉길의사의 이름을 더럽히지 말고 사라지기 바란다.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3. 18. 11:05

코로나 관련 뉴스를 보면, 북미, 호주, 유럽 여러나라의 상점에서 생필품이 거덜이 나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총기와 총알등을 사재기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반면에 김구선생님께서 꿈꾸셨던 '아름다운 문화국가'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업자들이 마스크를 사재기 하는 것 외에는 딱히 생필품이 동이나는 사재기 현상은 벌어지지 않고 있다. 

 

여기서 오늘의 퀴즈: 왜 한국에서는 사재기가 안일어나는데 북미 유럽에서는 일어날까?   왜 저들은 사재기를 하고 난리법석인데 한국에서는 특이한 사재기가 안 일어나고 있는가?

 

나는 나만의 이론이 있다. 합리적인.

 

자, 답에 도전해 보시길. (아무도 안보는 블로그이지만 그래도 뭔가 미스테리를 ... ㅋㅋ)

 

 

(답은 요 밑에 -- 더보기) 

 

더보기

우리나라는 거의 항상, 늘 전쟁상태였다. 우리나라는 '휴전' 상태이다.

 

나는 전후에 태어났지만 늘 - 어떤 전쟁의 공포에 시달리며 성장했다. 학교에서는 반공 포스터 대회를 하고, 반공 글짓기, 반공 웅변대회, 그리고 가끔 군사 분계선에서 총성이 울렸다는 뉴스와, 언제든지 북한이 쳐들어 올수도 있다는 긴장감이 고취되는 사회에서 성장했다.  몇년에 한번씩은 한반도에 전쟁의 위험이 닥쳐오는 것도 같았다. 그것이 위정자들의 생쑈이건 뭐건 간에 우리는 대체로 늘 불안했다. 가끔 라면이나 뭐 그런것이 동이 날때도 있었다.  우리는 알고 있었다. 전쟁나면 도망 갈데도 없고 죽는거다. 뭐. 기껏해야 라면이나 사 놓고, 쌀이나 좀 사놓고, 그러면 그것이 '난리'를 준비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그런 세월을 한국전 이후에 지속적으로 살아냈다. 

 

 

그런 우리에게, --그까짓 질병 따위 -- 전쟁만큼 무섭진 않는거지.  그래 죽기도 하지만, 전쟁나서 막 폭삭 망하는 것도 아니고 견디고 이기면 그만인거 아닌가? 그까짓 질병 따위. 전쟁에 비할까?

 

 

우리가 이런 강심장인데 비해서 -- 미국, 걔네들이 전쟁을 알아? 기껏해야 허리케인 올때 사재기 하는 수준의 심약한 친구들인데, 이들에게는 세상에 이런 재앙은 거의 처음 겪는것이지. 그러니까 쫄아 붙는거지. 그러니까 막 총이고 뭐고 사들이는거지.  이해는 해. 무서울거다. 

 

 

우덜은, 태어나서부터 늘 전쟁의 공포에 시달려왔거등. 이정도 질병은 사실 크게 무섭지 않다. 전쟁에 비하면.  그러니 우리는 태평이고, 사재기 따위. 

 

 

대구에서 코로나 발생하고 상황 시끄러워지자 - 미국으로 도망간 우리학교 미국인 교수 -- 그 사람 지금 땅을 치고 후회하고 있을거다. 한국이 더 안전하거등. 하하. 

 

 

 

Posted by Lee Eunmee
Humor2020. 3. 17. 13:03

며칠전에 숙소 현관에서 '열감지 센서 카메라'에 걸렸다.  내가 지내는 곳의 현관에는 '열감지 센서 카메라'와 '요원'이 24시간 지키고 있어서 (공항 같다) 출입자들이 그곳을 통과해야 숙소에 진입이 가능하다.  그런데 내가 그 카메라에 걸린 것이다. (제길슨.)

 

뭔가 삐리리리 소리가 나자 '요원'이 나를 제지하고 체온계를 이마에 갖다 댄다.  34.8도 --> 이것이 인간의 체온이야? 나 파충류나 물고기가 아닐까? (사실 나는 인어공주였어).

다시 재도 그 체온이 나온다.  '요원'이 '상급자'를 불러서 의논을 한다. '상급자' --> 관리실 부장님이 "기계 오류인가보죠. 그냥 가세요"  뭐, 내가 생각하기에 내 체온이 '인간의 체온'이 아니므로 '이상'을 감지하고 삐리리 울렸던 모양이다.

 

그런데, 그 후로는 그 열감지 센서 앞을 지나기가 겁이 난다. 만약에 내 체온이 이상체온으로 걸리면? 그럼 나는 어디론가 끌려가는거야? 응? 나 어떻게 되는거지? 뭐 오만가지 생각이 다 나는 것이다. (실소). 그러자 갑자기 건물 내부의 '자가 격리실' 이런 표시도 눈에 확 들어오고, 혹시 내가 열이나면 저기 갇히는건가? 뭐 여러가지 생각이 난다. 그러다가 키득키득 웃고 만다.

 

코로나로 많은 분들이 돌아가시는데, 내가 이런 소재로 개그를 하는것은 실례지만 -- 만사 웃고 지나가는 의미에서 -- 설령 이 일이 내게 닥쳐도 그냥 웃고 지나가기 위해서 가상의 개그를 해본다.

 

만약에 이것이 유럽이나 미국에서 근심하듯 전세계에 퍼져가고 많은 사람들이 거쳐가는 질병이 된다면 -- 그래서 그것이 어떤 일상이 된다면, 우리의 대화는 이런 식일 것이다.

 

갑: 야, 너 요즘 안보이던데, 갔다 온거야? (어디: 이부분이 생략된다. 그곳을 말한다)

을: 응. 나도 갔다 왔지. 넌 전에 갔다 왔지?

갑: 그렇지. 네가 간 곳은 어땠어? 밥은 뭐가 나왔어?

을: 아이고, 고단위 영양식을 주는데 내가 고기를 못 먹쟎아. 고생좀 했지.

갑: 그랬군, 나는 시골에 갇혀 있다 왔는데, 그 마을 이장님이 배식당번이셨어. 매일 된장국에, 아주 자연식이었지. 좋았어....

을: 그랬군.

갑: 그런데, 이장님이 배식하다가 전염되어가지고 나중에는 내 방에서 합숙하셨지. 이장님 사모님 음식솜씨가 아주 좋았어. 아 그립다... 그 맛.

병: 자네들 거기 갔다 온 얘기하는건가?  난 아직 못 가봤네...

갑: 자네도 곧 다녀올거야. 걱정은 말게. 우리나라 의료진 솜씨가 좋아요. 손 잘 씻고. 마스크 줄까?

병: 마스크는 나도 있네. 고맙네.

 

그냥, 닥치는 대로 사는거다. 믿음, 소망, 사랑을 가슴에 품고, 주님 곁으로 가는 그날까지. 

# 난 맨하탄에 가서 스탠드 업 개그를 해야해. 

***

 

그런데 문득 새벽의 꿈이 생각났다. (이건 뭐지?)

 

내가 외양간의 소를 풀어놓고, 세숫대야를 가져다가 소를 세숫대야에 담아놓고 (강아지 목욕을 시키듯) 얼굴이며 두루두루 손으로 씻어주니 소가 착하게 세숫대야에 가만히 앉아 있다. 소를 다 씻고나서 이놈을 세숫대야에서 꺼내야 하는데 무거워서 들을수가 없어서, 세숫대야를 한쪽으로 들어올리니 소가 세숫대야에서 빠져나와 '외양간에 웅크리고 앉아있듯' 그자리에 평안하게 앉아있다.  나는 꿈속에서도 '소가 참 순하기도 하다. 강아지 같구나' 하며 감탄하다. 깸. 

 

(시시탐탐 비누로 손 씻으니 꿈에서도 뭔가 열심히 씻는 모양이다.) 

 

 

'Hum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은: 파주인건가?  (0) 2020.04.29
박사와 '머리'와의 상관 관계  (1) 2019.09.25
일당백  (0) 2013.09.25
윤창춘 레슬링  (0) 2013.05.25
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가족에 대한 언론의 태도  (0) 2013.05.17
Posted by Lee Eunmee
Sketch2020. 3. 13. 17:24

 

 

I got tired of all those individual repeated questions and answers through email because they were asking me the same question individually and I had to answer the same repeatedly. (They do not use the discussion board even though I opened it and invited students to use it) I set up a class Kakao Talk Channel and added all of my class students. I asked them to send questions to this channel so that we can share the common questions and answers and save time. 

 

They do not know each other because they have never met in person, so in the beginning each student was only talking to me. “Professor, I have a question…” Yesterday, I was busy, I didn’t check the channel for several hours, and when I got back I found this. (above image)

 

One student asked me, “Professor I have a question” (I was away, no answer), and another student volunteered to answer for it. Along with a snapshot of her computer screen, she kindly told the classmate how to add ‘comment’ in their peer reviewing assignment. 

 

Finally, my class learned how to help each other doing their classwork online 24/7. I am so proud of my students and am delighted to share this phenomenon with my colleagues. :-) 

 

On this channel, I send ‘Today’s Campus’ photo with spring flowers that I find on campus every morning. I show my office photos. I show some scenes of the university building little by little everyday, and they like what I upload for them. They know that they can get answers from the professor and classmates any time of the day. We are getting closer to each other. 

 

Recently, a big project was due, I was concerned if anyone would be left behind (cannot submit the big project), but to my surprise, ‘everybody’ could finish it without failure. We are becoming a real team now.

 

I video record class lessons through Kultura video everyday and upload it.

I open virtual collab class for office hours.

I open my virtual collab class twice a week

I grade and give my feedback on their daily classwork everyday, immediately

I interact with them real time on Kakao Talk all around the clock (except bedtime)

 

It’s sort of addictive. I feel I am in love with this class of mine. 

 

'Ske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문을 달았습니다  (0) 2020.11.12
희망  (0) 2020.11.10
윤봉길 의사님...  (0) 2020.02.12
'기생충' 쾌거의 아이러니  (0) 2020.02.12
'조국'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자  (0) 2020.02.10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3. 6. 18:56

나는 마스크를 사지 않겠다. 만들어서 쓰겠다. 

마스크만들기 패키지를 언라인에서 주문을 해봤는데, 별로 질감도 좋아보이지 않는 대충 본뜬 헌겊과 부자재가 들어있었는데, 어떻게 만들라는 설명서가 없었다.  (설명서는 넣어줘야 하는게 아닐까?)

 

그래서, 대충 만들려다가 그래도 유튜브를 열고 아무거나 '마스크만들기' 방법을 살펴보았다.  역시 '선수'들의 설명을 들으면 나도 아이디어가 생긴다. 단순한 것이지만 선수들의 사례를 참고하면 도움이 많이 된다. 고마운 인터넷.

 

 

온종일 마스크 착용하고, 자기 구역에서만 '실험상자 속의 쥐'처럼 맴돌며 머리를 쓰다가 저녁에 집에 오면 머리가 멍해진다.  뭔가 '육체적인 일'을 하고 싶어진다. 티브이 오락프로그램을 틀어놓고 대충 대충 삐뚤빼뚤 기분내키는대로 오랫만에 홈질. 보내준 분홍 바느질실이 마음에 쏙 든다. 색깔 자체가 기분을 좋게 만든다. 색깔치료, 동작치료. 기분이 평화로와지고 그냥 감미롭다.

 

그래서 한 세시간만에 앞면 뒷면 그림이 다른 양면 입체마스크를 만들었다.  윗부분을 2/3쯤 열어 놓았다. 필터 갈아 넣는 창이다. 줄도 끼었다 (생각보다 쉽네). 정전기청소포 필터를 집어 넣었다. 끝. 

 

내가 생각해보니, 남편 안입는 고급 면소재 와이셔츠를 잘라서 아주 큼직한 마스크를 만들어야겠다. 남편것.  '해지'천이 멋있을텐데. 찾아보자. 이제 나는 마스크를 사지 않겠다. 나의 아주 아주 먼지만하게 작은 애국의 방법이다. 

 

 

 

 

오전에 엘리베이터에서, 복도에서, "어머! 마스크 이쁘다!  오모 오모! 직접 만드신거에요?"  우리들은 아주 작고 보잘것 없는것 한가지를 가지고 서로 기분좋게 웃었다.  사는거 뭐 별거 있나...별거 없다. 작은 일에 기쁘게 깔깔대고, 뭘 먹어도 기쁘게 맛있게 먹고, 서로 웃어주고. 뭐 별거 있나. 하느님이 하늘에 계시니 오늘도 기쁘다. 

 

내가 마스크 필터를 만들어내어 매일 매일 잘 지내는 이후로 이상하게 내게 마스크 선물하는 사람들이 생긴다. 요즘은 '마스크'가 귀한 우정의 표시가 되어버린듯 하다. 누가 내게 마스크를 선물로 내밀면, 나는 감사히 받아가지고 곧바로 아무나 내 앞에 나타나는 학생의 손이 쥐어준다. 귀한 자식이다. 학비를 해결하기 위해 동동거리며 뛰어다니는 아주아주 귀한 자식들이다.  즐겁다. 즐거운 인생.  어서 모두 떨치고 일어나시길. 무사하시길. 

 

* 사실 2월초에 한국에 돌아온 후 나는 마스크를 딱 한 번 샀다. 약국에서 내것 남편것 딱 두장. 그 때 뭐 한장에 3,500원 하길래 기가 막혀서 그 이후로 안샀다. 내게는 비축분이 있었다.  미세먼지때문에, 작년에 언라인으로 한상자 (50장) 사 놓고 필요할때 쓰던것이 남아 있었다. 양말 서랍에 그냥 있었다. 그래서 그것 쓰다가, 뭐 구차스럽다는 생각이 자꾸 들어서, 마스크 한장에 3,500원인것이 말이 안돼서 그냥 다른 방법을 생각해 냈다. 이제는 심심할때마다 헌셔츠 잘라서 마스크나 만들어야지. 필터 갈아쓰면 되도록 만들면 된다.  재봉틀 사서, 막 만들어갖고, 막 여기저기 뿌리고 싶어진다마는, 일해야 한다. 수업 찍어야 한다. 아... 그런데 WHO 세계보건기구 의장, 그 사람 신뢰가 안간다. 이상한 사람같다. 그냥...나 그사람 티브이에 나오면 채널 돌린다.  아베나 시진핑 만큼이나 그 사람이 맘에 안든다. 이유는, 모르겠다.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3. 1. 22:07

(왼쪽부터) 방한용 헝겊 마스크, 정전기청소포 (2000원), 키친타월
정전기 청소포를 마스크 크기에 맞춰 착착 접은후 키친타월로 착착 접어 감싼다. 

 

키친타월로 접어서 청소포를 감싼 상태.
얇은 솜이 안쪽에 들어있는 방한용 면마스크의 안쪽 한 편을 가위로 가른후 위에 접어 놓은 '필터'를 집어 넣는다. (끝)

 

뉴스를 보니까 지자체에서 헝겊 마스크에 정전기 부직포(?) 를 넣어서 임시변통으로 만들어낸 방역마스크가 인증 받은 마스크와 비슷한 효과가 있다고 해서 나도 머리를 써서 만들어보았다. '정전기 부직포(?)'를 따로 사야 하나? 고민하다가 내가 알고 있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용 티슈 생각이 나서 -- 정전기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하고, 다이소에서 정전기 청소포 사다가 만들어 보았다. 

 

우리나라 군 장병들이 사용할 마스크까지 민간에 풀어야 한다는 뉴스를 보고 내가 약간 화가 났다.  '군인'들이 우리나라 지키는 사람들인데 그 사람들 마스크를 빼앗아다 쓰면 어쩐다는 말인가? 그것은 안 될 말이라고 본다. (나로서는 그렇게 생각한다.)  내가  마스크를 안 사는 것이 마스크가 급히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이 될것이다.  우리 식구 것은 내가 이렇게 매일 갈아쓰면 되니까 (매일 저녁에 필터는 빼서 버리고 마스크는 깨끗이 빨아서 말리면 된다) 아무튼 다른 분들에게 먼지 만큼이라도 도움이 될 것이다.  군 장병에게 지급될 마스크를 빼앗으면 안된다. 군장병은 나라를 지키고, 나는 군에 있는 우리 아들/딸들을 지켜주고 싶다.  마스크는 노약자, 대구 경북 시민, 군장병들에게 먼저 가고 -- 후방의 대체로 평범한 나같은 소시민들은 마스크 사겠다고 줄 서지 말고 각자 만들어 쓰는거다.  이 난리통에 마스크 매점매석 해 놓고 실익을 챙기는 분들에게 '빅 엿'을 선물하고 싶다. 

 

 

생각해보니, 이렇게 '필터'를 차곡차곡 접어 만들어서 비닐봉지에 갖고 다니다가 하루에도 여러번 갈아 써도 되겠다. 뭐 청소포와 키친타월은 비싸지도 않으니까.  청소포는 다이소에서 사옴. 

 

 

만약에 갖고 있는 헝겊 마스크가 홑겹이라면?   내가 그 문제도 생각을 해 봤다. 뭐 남편이 입던 헌 내의 (난닝구) 그거 잘라서 마스크 크기만큼 두세겹으로 접는다. 삼면을 바느질하여 헝겊 마스크 뒷면에 붙인다 (코/입에 닿는 부분). 꿰메지 않고 남겨 놓은 쪽으로 필터를 넣고 뺀다. 판매하는 헝겊 마스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헝겊 사서 마스크 본떠서 바느질하고 끈 달기 귀챦아서...헝겊 마스크는 구하기도 수월하고 한번 사면 매일 빨아서 쓸수 있으니 편하게 가자는거다. 편하게. (쉽죠?  ㅎㅎㅎ ) 내가 수실이 있으면 마스크 겉면에 수도 놓아 쓰고 다니련만...음, 이러다 마스크 패션 만들어서 수출할라... 

 

찬조출연: 내 손 -- 하도 자주 따뜻한 물에 비누칠해서 문질러대니 요즘 내 손이 거의 투명해진듯하다.  평소에도 이렇게 자주 닦고 살았어야 했는데. 소독제--비누로 씻기--핸드크림--소독제--소독제--비누--핸드크림  이런식의 무한반복이 하루 일상. 

----

지난 연말에 A형 독감 '확진' 받았던 날 생각이 난다 --나는 열나고 사지가 쑤시고 골치 지끈거리고 아주 죽을 맛이었는데 동네 내과에 가니 간호사가 열 재보고 "열 없네요" 이런다.  난 열이 나는데 열이 없단다. 의사선생님도 똑같은 말 하고. 열이 없으니 크게 문제가 안된단다. 그래서 내가 "아프니까 집에 있는 타이레놀 이런거 먹었으니까 열이 내린거 아닐까요?"  그랬더니 그제서야 "그래요? 그럴수도 있지요." 이러더니 뭐 독감 검사를 해 보잔다. 뭐 코로 길다란 대롱을 넣어서 콧물을 채취를 하는데 약간 무서웠지만 검사 결과는 바로 나오더라. "에이형 독감이군요. 기록보니 얼마전에 여기서 독감 예방접종 하셨네. 그래도 독감 걸릴 수 있어요."  뭐, 그러더니 감기증상 처방해주면서 타미플루 한판 (5일치 한판) 무조건 끝까지 먹으라고 하더라. 증상완화를 위해서는 감기몸살 처방약을 처방해주는데 '타미플루'는 증상완화보다는 '전염성을 방지하는' 목적의 약이라고 설명을 들었다.  그래서 증상이 없어져도 타미플루는 무조건 끝까지 먹으라고 (남을 위해서 그렇게 하라고 한다.)  그래서 남이 내게서 전염 되는 것을 막기위해 그 독한 약을 다 먹었다. 

 

내가 염려하는 부분은 자기는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앓고 있으면서도 잘 모르고 지나가는 '건강한 앓는 사람들'과 내가 접촉 했을경우 나만 바가지 쓰는거지 뭐.  난 감기, 독감 센서가 아주 발달해서 감기에 취약한 편이고.  방어 방법은 손씻고 마스크 착용하고. 그것밖에 없다. 직장 생활을 안 할 수도 없고. 내 직업이 사람을 대면하는 일인데. 

 

그러니 제발 좀 건강한 사람들도 남을 위해서 마스크를 착용했으면 좋겠다. 건강한 사람이야 코로나 걸려도 약먹고 금세 떨치고 일어나면 그만이지만, 약한 사람들에게는 치명적일수 있다. 나도 뭐 '걸리면 별 수 있나 아프고 지나가는거지' 하는 편이지만 남을 위해서도 최대한 방어를 해야 하는거다.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2. 28. 13:55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4294369&code=61121111&cp=nv

 

“내가 간 곳이 신천지 교육장인지도 몰랐다” 신천지 포교 대상자 증언

A씨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으로 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신천지) 포교 수법이 언론 등을 통해 드러나자 불안해졌다. 자신이 지금까지 받

news.kmib.co.kr

'신천지 교육장인지도 몰랐다' 는 기사를 보면서 깔깔 웃었다. (이 중차대한 시기에 웃으면 안되는데)  깔깔대다가 내린 결론 -그래, 외로우면 낚이는거다. 

 

 

이 기사를 보면 신천지 사이비 집단이 멀쩡하고 선량한 사람들을 어떻게 끌어들이는지 상세히 묘사가 되어 있는데, 주로 심리검사로 유인을 하여 고민도 들어주고, 연락을 자주 취하고, 자주 만나서 밥도 먹고 뭐 친절을 베풀다가 그냥 저도 모르게 끌어가는 구조인것 같다. 

 

 

그러면, 이들이 나에게 접근하지 못 한 이유:

 

(1) 일단 나는 낯선 사람이 말을 걸면  아예 눈도 안마주치고 그냥 지나치는 편이다. 

 

(2) 가까운 사람에게도 고민을 토로하거나 마음을 털어놓지 않는다. 내 문제는 내가 안고 간다. (예수쟁이가 된 후에는 기도하면서 다 풀어 놓는데, 그거야 하느님과 나 사이의 문제이고, 다른 사람은 내 속을 알 수 없다.) 그러니 누군가 내 삶의 문제 틈바구니에 간교하게 끼어들 여지가 별로 없다.

 

(3) 전화 받기를 싫어한다. 심지어 가족 전화도 잘 안받으므로 낯선자가 내게 전화 해 봤자 나하고 소통이 안된다. 친하다고 전화를 자주하면 아주 교제를 끊어버린다. 누군가 내 삶에 들어오는걸 코로나바이러스보다 더 싫어한다. 

 

(4) 무슨 모임에 나가는걸 극도로 귀챦아 한다. 나는 내 일외에는 나 혼자 노는게 제일 재미있다. 그러므로 나를 만나기는 매우 어렵다. 

 

(5) 나는 무슨 집단을 잘 신뢰를 안한다. 대개 '사기꾼 놈들'이라고 보는 편이다. 그래서 정당 가입도 안하고 살고 있다. 정당놈들도 내 눈에는 다 사기꾼 놈들이다. 

 

(6) 나는 남의 말을 잘 안듣는다. 내가 예수쟁이 이지만, 성경끼고 앉아 홀로 공부하고 사색하고, 책보고 스스로 배워나가는 편이지 무슨 유명하다는 목사나 그런 사람들 설교를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누군가가 나와 하느님사이의 소통에 끼어드는 것을 극도로 경계한다.  우리 교회 목사님 말도 그냥 대충 흘려 듣는다.  그냥 반은 사기꾼이겠거니 하는 편이 속 편하다. 나도 사기꾼 너도 사기꾼이라는 입장이다. 내가 잘 난 사람이라는 생각도 없다. 너나 나나 사기꾼이니까 서로 가르칠 생각은 말자는거다.  하느님만 나를 가르칠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내가 지금 대단하다는 사람들 말도 콧등으로 흘려 듣는 판에 잘 알지도 못하는 이웃 아무개가 친한척 다가와서 낚싯밥을 던지면 물겠는가?  그런데, 성격상 Field Independent 혼자서 잘하고 혼자서 즐기는 사람도 있지만,  여럿이 모이길 좋아하는 사람 (Field Dependent) 도 분명 있다. 그분들 잘못이 아니다. 성격상 그런 분들이 낚이기 쉬운 구조이다.

 

이 참에 잘못된 사이비 종교 지도자들을 다 잡아들이고, 고통받고 있는 사이비 교단의 선량한 시민들이 해방되길 빌어본다.  그분들이 무슨 죄가 있는가, 미혹에 빠진 소시민들일 뿐이니. 거짓말 일삼고 소시민들을 바보로 만드는 저 수괴들을 발본색원 해야 할 때다. 

 

----

 

덧붙여, 한국 교회 이참에 매 좀 맞아도 싸다.  코로나 와중에 2월 초에 입국한 나는 입국 이후에 교회에 나가지 않았다. 내가 하루 한시간 아침 예배와 기도를 실천하는 열혈 예수쟁이인데, 그래도 일요 예배에 벌써 몇주째  가지 않았다. 왜냐하면, 내가 감기에 잘 걸리니까, 교회 예배에 갔다가 감기에 옮아가지고 오면 내가 조금이라도 교회를 원망하는 마음이 들지 않겠는가?  평생 예수쟁이로 살다가 천국으로 갈 목숨인데, 뭐 교회 한두달 빠진다고 하느님이 나보고 뭐라고 하시겠는가?  하느님은 암말 안하신다. 매일 한시간씩 데이트 중인데 뭐.  뭐 이렇게 생각하고 예배에 빠져도 마음이 무겁지도 않다. 그리고 매일매일 가볍게 지내고 있다. 

 

나는 교회 소모임 (속회)이런것도 안다닌다. 예배 드리고, 기도회 하면 가고, 새벽기도회도 나가고 뭐 그러긴 하는데 소모임으로 모여서 뭐 하는거는 안한다. 하고 싶으면 하지만 별로 하고 싶지도 않고 그럴 시간도 없다. 나도 바쁘다.  그래도 우리 교회 목사님들은 나를 잘 아시고, 나도 성실한 성도라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다. 어느날 카톡이 시끄러워서 봤더니 나도 모르게 내가 교회 소모임에 등록이 되어 카톡 단체방에서 뭐라고 뭐라고 대화가 오간다. 그냥 지워버리려다가  (나는 카톡도 그냥 지워버린다) 뭔가 봤더니, 소모임 회원들이 모임 장소 얘기를 하다가, 요즘 코로나 때문에 위험하니 당분간 소모임을 자제하자는 의견을 누가 냈고 대체로 수긍하는 내용이었다.  참 상식적인 분들이네, 안심하고 그냥 지워버렸다. 소모임 안하겠다 이거다.  그렇다, 내가 비록 참석하여 활동하지는 않지만, 교회에서 나를 집어 넣은 그 소모임 신도들은 상식적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위험하니 소모임을 당분간 하지 말자는거다. 얼마나 상식적인가. 

 

그런데, 왜 교회에서는 아무런 공지가 안뜨는거지? 이쯤 되면 교회에서도 "신도 여러분....그러하오니...일요 예배에 오시는 대신에 각자 가정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예배를 하실것을 권해드립니다..." 뭐 이런 메시지가 와야 하느것 아닌가? 왜 일체 소식이 없지? 나는 언라인으로 십일조도 꼬박꼬받 내는데 왜 언라인으로 일자 소식이 없지? 이런 의구심이 드는 것이다.  한국 교회 정신 차리라. 신도들에게서 헌금 받는것에만 할레루야 외치지 말고 좀 상식적으로 신도들을 이끄는 방식을 실천해 주기 바란다.  나는 나 혼자 생각하고, 중얼거리다가, 나의 길을 가면 된다. 어차피 인간에게 크게 기대 안한다. 종교지도자들에게도 크게 기대를 가지면 안된다. 각자가 하느님 앞에서 올바로 서서 하루 하루를 살아내는 것이 타당하다.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2. 26. 15:51

"Listen to your heart" 라는 표현이 있다. 네 마음이 진정으로 갈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내면의 소리를 들으라는 것이다. 중요한 덕목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이 경구를 스스로에게 혹은 조언을 구하는 사람에게 들려주기도 한다.

 

그런데, 나는 종종 "Do NOT listen to your heart" 를 혼자 중얼거리기도 한다. 내 마음이 원하는 것의 반대방향으로 가는 것이 인생에서 정답일 때가 많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 말하자면 -- 나는 아주 사악하고 이기적인 인간이다. 숲속의 여우처럼 늘 사방을 돌아보며 숨고, 눈치보고, 도망갈 준비를 하며, 썩은 고기건 뭐건 닥치는대로 내것으로 만들고 싶어진다.  그것이 내 본성이다. 나는 미세한 표정의 변화도 없이 거짓말을 할 줄도 안다. 아마 거짓말 탐지기도 내 거짓말을 감지하기는 어려우리라. 나는 한마디로 교활하고 이기적인 인간이다.  나는 내가 그런 인간임을 알기에, 내가 내 뜻대로 하면 정말 큰 일을 낼 수도 있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어떤 판단을 해야 할 때, 그것이 순전한 나의 문제가 아니라 나와 사회가 연결되어 있고 많은 사람들이 내 판단에 연결되어 있을 때, 그 때 나는 알고 있다. 내 마음이 쏠리는 '반대' 방향으로 선택을 하면 그것이 정답이다. 

 

목사님들이 어디에 가 놓고서 안갔다고 발뺌을 하거나, 예배에서 수천명을 만났으면서 안만났다고 거짓말을 하는 동기가 무엇일까?  교회를 위해서? 신도를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그들이 거짓말을 하는가? 집단 감염의 위험을 무릅쓰고 예배를 진행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서? 헌금 받는 날이라 돈 받기 위해서?  그들이 뭐라고 설명을 해도 내가 보기에는 거짓말이나 예배 강행의 이유가 '타인'이나 '사회'를 위한 판단이라기 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인것으로 보인다.  하느님을 팔아서 장사하려고 하는 것으로 밖에는 해석이 안된다. 어떤 핑계를 대도 내 눈에는 그들이 '돈'에 눈이 멀어 성전에서 사기를 치는 사람들로만 보인다.  내가 목회자라도 나는 돈에 눈이 멀을것 같으니까. 

 

그러니까, 그런 유혹의 소리가 내 가슴에서 울릴때, 나는 내 말을 들으면 안된다. 내가 사악하게 속삭이는 말에 귀를 닫고 반대 방향으로 가야 한다. 그것이 나를 지키는 방법이다. 그러니까 나는 내 말을 들으면 안된다. 그럴때, 나는 하느님이 내게 미소 지으신다는 것을 감지한다.  나의 판단으로 내가 잠시 문제에 빠질수는 있으나 그것이 구원임을 나는 감지하는 것이다.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2. 25. 18:54

국내 대학들은 삼월 중순 혹은 사월 초까지 개강이 연기되고 있지만, 우리 대학은 이미 금주에 개강했다. 물론 입학식도 생략되고 많은 것들이 생략된 가운데, 언라인으로 임시 진행하는 방식으로 개강을 했다. 교수와 학생들은 서로 접촉할 수 없고 오직 언라인으로만 소통한다. 나는 매일 내 수업내용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올리고 있다. 오늘도 내일 수업 내용 비디오를 제작해야 한다. 내가 총감독이고, 출연자고, 다 한다. 내가 능력자라는 사실을 발견한다. 신입생들도 착실히 언라인으로 과제를 제출하고 있다. 역시 인터넷 세대 주인들이라서 응답이 빠르다. 걱정은 기우였다. 

 

 

학교도 유령타운 처럼 적적하다. 달팽이들처럼 각자 연구실에 숨어서 일을 할 뿐이다. 

 

저녁에 한 학생이 내 연구실앞에서 들어오지도 못하고 기웃거린다. 중국인 학생이다.  들어오지는 않고 밖에 서 있다.  나 보러 온건가?  내가 운영하는 센터를 찾아 왔다. 물론 센터 서비스도 열지 않았다. 비상 상황이니까. 센터에는 아무도 없지만, "내가 센터다. 무슨 도움이 필요하지?"  언라인으로 모든 수업이 진행이 되니까 문제 상황이 많을거다. 그 학생은 프로그래밍 과제가 있는데 튜터가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해서 왔다고 한다. 

 

 

 

 

 

 

 

 

내 연구실에 들어와 소파에 앉게 하고 차를 한 잔 주었다. '잘 지내니?' 기숙사 방에 틀어박혀 있어서 쓸쓸하다고 한다. 아직 교과서 주문한 것은 도착도 안했는데, 과제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 난감한데 아무하고도 얘기를 하면 안된다고, 그래서 다른 학생들에게 가서 도움을 구할수도 없다고.  참 딱하다. 

 

 

지금은 비상상황이고, 다른 방도가 없어 언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교수들 역시 이 상황이 학생들에게 매우 힘들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니 설령 네가 기한안에 과제를 다 수행하지 못해도, 네가 이러한 상황을 교수께 이메일로 전하면 교수께서 문제 해결 방법을 알려주실거다 -- 이렇게 설명을 해 주었다. 안심되는 눈치이다. 

 

학생이 몇번이나 감사하다고 인사를 하고 나간 후에 나는 손 소독제로 손을 문지르고 학생이 만졌던 펜과 이러저러한 것들을 소독했다. 그리고나서 동료교수에게 이메일을 쓴다 아무개가 이러저러한 문제로 상담을 하러 왔으니 그에게 적합한 방도를 구해 주시면 감사하겠나이다.    나는 불안하다. 하지만 불안한채로 마스크를 하고, 유령타운 같이 고요한 학교의 복도를 가로질러 내 연구실까지 학생이 찾아오면 그를 소파에 앉게 하고 차를 내어준다. "야! 마스크 쓰고 들어와!" 하고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그가 귀에 마스크를 걸고 있으면.  하지만 마스크도 없이 오는 학생에게는 아무 말도 안한다. 대신 내가 마스크를 단단히 쓴다.  하여간 나는 학생들에게 따뜻한 차를 주고 그들의 당면한 문제를 들어주고 해법을 찾아 준다. 그러면서도 학생이 나가자마자 히스테리컬하게 손 소독제로 여기저기 문지르며 법석을 떤다. 

 

자연인으로서의 나는 연구실 걸어 잠그고 아무도 상대하고 싶지 않다. 그나마 그것이 안전해 보이니까.  하지만 사회인인 나는 문을 열고 학생을 맞이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찾아가 의논할 상대가 나밖에 없어서 내게 온것이니까.

 

(아, 나의 사회적 자아는 내가 생각하는 나하고는 조금 다르구나 --- 손소독제를 히스테리컬하게 문지르며 그런 생각을 잠깐 했다.)  어서 이 어두운 시간이 지나가고 모두가 휴식을 취할수 있기를.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2. 23. 20:19

영화 '작은아씨들 (2019)'에서 조가 원고를 늘어 놓는 장면

 

영화 '작은 아씨들(2019)'을 극장에 가서 조조할인으로 보았다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황제 관람 모우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위에 올려 놓은, 조가 동생 베쓰를 잃은 후에 '작은아씨들'을 집필하면서 원고를 펼쳐 놓는 장면. 

 

 

다른 '소녀'들과 마찬가지로 나도 계몽사 세계명작동화에서 '작은아씨들'을 발견하여 처음 읽은 후, 거의 모든 에피소드를 다 외울 정도로 이 책을 좋아했다. 금성사 판에는 이야기의 전반이 실려 있었고, 계몽사판에는 전반 후반이 모두 실려 있었다. 금성사 판에서는 아버지가 아픈 베쓰를 보러 귀가하는데까지, 계몽사판에서는 베스의 죽음과 에이미, 조우의 결혼까지 모두 실려있었다. 

 

 

피닉스에 있을 때, 엄마의 취향 저격에 명수인 작은 아들이, "엄마 작은 아씨들 영화 해요. 보러 가실래요?" 제안 했을때 나는 '괜챦아. 별로 관심 없어'라고 대꾸했다. 오스카상 후보에 올랐다고 하지만 별 관심이 없었다. 며칠전까지도 나는 내가 너무나 사랑했던 이 이야기의 2019년판 영화에 아무 관심도 없었다. 앞서서 제작되었던 두편의 영화는 이미 여러차례 본 바있다. 나는 수잔 서랜던이 나왔던 1995년 판을 좋아하는데 그것 역시 지금은 별 관심이 없다 (내가 그런 것에 판타지를 갖기에는 너무 오래 살은 걸까?). 

 

 

그런데 내가 갑자기 이 영화를 보기로 결심한데는 이유가 있다. 언라인 칼럼에서 누군가 남자분이 쓴 글 때문이었다. 찾으면 나오겠지만 찾아서 링크를 걸고 싶지는 않다. 그분은 글에서 '남자'인데도 불구하고 어린 시절 그는 '작은 아씨들'을 즐겨 읽었고, 베쓰의 죽음에서는 펑펑 울었다고 했다. 그는 부끄러움이 많은 소년이었는데 이야기 속의 베쓰와 자신을 동일시 했다고 한다. 그래서 베쓰의 죽음이 너무나 슬펐다고. 그가 '조'의 불만이나 여성들의 불만을 별로 의식하지 못했던 것은 아마도 자신이 '남성'이라서 '여성'들이 맞닥뜨리는 상황을 잘 이해할수 없었던 것 같다는 자성의 메시지도 있었다.  나는 그의 글을 읽으며 '세상에 베쓰와 자신을 동일시 한 소년이 있었다니! 놀랍다!'는 느낌이 들었고 갑자기 영화를 한 번 봐야겠다는 흥미가 동했다. 

 

 

대체로 이 이야기를 읽던 소녀들은 '주인공 격'인 '조우'와 자신을 동일시 하는 편이다. 나 역시 그랬다.  우리언니는 '작은 아씨들의 조우가 꼭 너 같다'고 말을 하기도 했었다. 글쓰기를 즐겨하고, 선머슴같이 돌아다니는 내 모습이 언니의 눈에 '조'처럼 보였던 모양이다. 내가 '조'라면 우리 언니는 착한 큰 언니 '메그'와 비슷했다.  우리들은 그렇게 이 이야기에 동화되었었다.

 

 

나는 정말 이 이야기를 좋아했다. 그래서 어른이 된 후에 영어소설 읽기가 어렵지 않게 되었을 때 원서도 구해서 읽었다. 그리고 메사추세츠주 '콩코드'라는 도시에 있는 '작은아씨들의 집'으로 여행을 가기도 했다. 저자 올코트가 살던 집이 아직도 남아있는데 바로 그 집이 이 소설의 세팅이 되었다. 영화에도 그 집의 모양이 비슷하게 그려져있다. 사실 올코트의 삶을 들여다보면, '작은아씨들'에 그려졌던 인물들이 그 당시의 실존 인물들의 반영 같기도 하다.  올코트의 아버지는 실제로 조 마치의 아버지와 비슷한 성품이었고... 소설속의 조는 결혼하지만, 루이자 메이 올코트는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소설 속의 '조'의 남편이었던 '베어'교수의 모델이 '월든'의 저자 Henry David Thoreau 라는 설도 있다. 미국 동부를 여행한다면 사실 Concord 는 숨은 보석같은 작은 마을인데, 그곳 공동묘지에 미국 역사의 거장들이 모두 묻혀있다.  나는 보스톤보다 콩코드를 더 좋아한다. 어쩌면 내가 이 이야기를 너무나 사랑하고, 깊이 깊이 내면화 한 나머지, 이것을 '영화화 한 것'에 어떤 불안감이나 거부감을 갖고 있었던 것도 같다. 원작만큼 충실한 영화는 없다. 내 가슴속의 영화가 훨씬 절절한 것이다. 

 

 

그래도, '조'가 원고를 쓰면서 원고지를 다락방 방바닥에 줄세우는 장면에서, 그리고  책 출판계약 담판을 짓는 장면에서 코끝이 찡해지고 눈물이 쏟아졌다. 원고를 쓰면 그것을 프린트해서 줄을 세우는 것이 내 버릇인데, 조가 영화속에서 그러고 있었다. 조는 아직도 내 가슴속에서 살아 있었던 모양이다. 

 

여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이 기껏해야 가정교사, 그림 그리기, 수 놓기, 집에서 피아노치기, 글 쓰기로 한정되어 있던 시절. 그 시절을 살았던 여성들의 한없는 '답답함'이 제법 묘사가 되기도 했다.  '72년생 김지영' 영화에서도 '김지영'이 글을 쓰는 것으로 우울감에서 벗어나고 스스로의 실존을 확립해 나가는 장면에서 사실 나는 좀 울컥했다. 2019년에도 여전히 여자는 '글쓰기'외에는 다른 탈출구가 없는걸까? 그거야 말로 암담한 결말이 아닐까? 나 혼자 답답했었다.  

 

나는 글쓰기를 좋아한다. 돈이 되건 안되건 나는 글을 쓴다. 글쓰기는 나의 해방구이다. 돈이 된다면 더욱 좋고.  하지만, 글쓰기 외에 다른 뾰족한 수가 없다면, 글쓰기 재주나 글쓰기 취미가 없는 여성들은 무엇을 해야 하나? 

 

메릴 스트립의 연기가 가장 근사했다고 생각된다. (고모).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2. 21. 11:58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221/99803563/1

 

이재명 “모든 신천지 예배당 즉시 폐쇄하라”

경기도가 신천지 대구교회 교인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가 급증하자 지역 신천지 교회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섰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20일 ‘코…

www.donga.com

이 기사가 눈에 띈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신천지의 공통점은 이것들이 골칫덩어리라는 것이고 무섭게 퍼져나가고 있다는거다. 

 

이재명 경기 지사뿐 아니라, 이참에 이 무서운 바이러스를 박살내고 해결하는 지도자가 차기 대통령 후보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진보고 보수고 뭐고 다 필요없다. 코로나 박살내는자를 나는 대통령 후보로 지지하고자 한다. 

 

Posted by Lee Eunmee
카테고리 없음2020. 2. 19. 18:42

그러자 진 전 교수는 즉각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분의 오빠 일곱 명이 학교로 몰려와 사람 하나 묻는 걸 내가 똑똑히 지켜봤다"며 "그런데 우리 식구들 예쁘게 봐달래요"라는 말로 어이없어 했다. 그가 말한 일은 최성해 전 동양대 총장이 자리에서 물러난 일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news1.kr/articles/?3845317

 

이재정 '예쁘게 봐달라'에 진중권 '오빠들 한짓 봤는데…징그럽다'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news1.kr

이날 이 대변인은 YTN라디오 '노영희의 출발 새아침'에서 진 전 교수 관련 질문을 받자 "진중권 교수 미학 책부터 굉장히 좋아했던 애독자로서, 존경했던 지식인이었다"고 운을 뗀 뒤 "민주당에 대한 애정이 깊어 그런 건지 모르겠지만 최근에 좀 더 가혹해진 측면이 있어 보이는데 조금만 더 애정을 쏟아 주고 함께 개선할 지점, 같이 할 수 있는 일도 있을 것 같아 좀 예쁘게 봐달라"고 요청했다.

--------

 

위 발췌문의 앞 뒤 맥락을 보면 '이재정'은 '민주당을 예쁘게 봐 달라'고 요청했는데, 진중권은 '이분의 오빠 일곱명이...'라고 대응했다. '민주당원 아무개 일곱명이 이재정의 '오빠'인건가?' 한참 생각해 봤는데, 그것은 아닌 것 같고.  사실과 합리성을 중요시하는 진중권씨가 이재정 주위의 당원들에 대하여 '오빠'로 칭한 것으로 보인다.  여자 주변에 그 여자 보다 나이 많은 남자들이 있으면 그게 그 여자의 '오빠'인건가?  합리적인 진중권씨, 당신 부인 주면에 열명의 나이 많은 남자들이 있으면 그 자들이 당신 부인의 오빠들인건가? 당신 누나들의 주변에 서 있는 남자들도 '오빠'들 인건가?  (진 전 교수에게는 여자가 누나 아니면 누이 동생인건가? 뭐랄까....부인에게서 여성을 어떻게 대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교육을 못 받은 듯 해 보인다.)

 

 

 

이재정은 '민주당'을 '예쁘게 봐 달라'고 한 것 같은데 진중권은 마치 이재정이 '오빠, 나 좀 예쁘게 봐줘'라고 말 한 것처럼 대응을 했다. 멋대로다. 

 

 

그리고 이재정씨.  아무데서나 '예쁘게 봐 주세요' 이따위 말 좀 하지 마라. 역겹다. 어디서 그따위 천박한 말을 올린다는 말인가?  그래서 안된다는거야. 그래서 나도 이제 너희가 싫다는거야.  찍을데가 없다는거야. 아무도 찍어주고 싶지 않아졌다는거야. 희망이 안보인다는거다. 

Posted by Lee Eunmee
Sketch2020. 2. 12. 14:22

https://news.joins.com/article/23700273

 

‘윤봉길 의사 장손녀’ 윤주경 전 독립기념관장, 한국당 간다

4·15 총선 인재로 영입됐다.

news.joins.com

 

이 사람이 개인 자격으로 어떤 정당을 선택하건, 그건 그의 자유이다.  그렇지만 그가 '윤봉길 의사 손녀딸'이라는 이름으로 박정희-박근혜-로 이어진 당에 입당했다는 사실은 통탄 할 만한 일이다. 박근혜씨는 그 아버지 박정희씨의 정신이라도 계승하지 않았던가? (그의 효심은 개인 차원에서 인간적으로 가상한 면이 있다.)   당신은 도대체 뭐냐? 당신 할아버지가 왜인에게 물통 폭탄을 날리며 항거할 때, 그 손녀 딸이 장차 박정희 계보를 이어받은 정당에 낯짝을 디밀거라 상상이나 했을까? 

 

당신 할아버지는 왜가 쏜 총알을 이마에 맞고 쓰러져 처형의 순간에까지도 이마에 '일장기'를 그리는 수치를 겪어야 했는데, 당신은 그 친일 후예들과 한가족?  

 

 

 

 

Posted by Lee Eunmee
Sketch2020. 2. 12. 10:22

https://americanart.tistory.com/370

 

19세기 풍속화가 George Caleb Bingham 의 노스탈지아

Mississippi Boatman 1850, oil on canvas George Caleb Bingham (조지 케일럽 빙엄) 1811-1879 조지 케일럽 빙엄(1811-1879)는 버지니아주의 부농 집안에서 태어나지만 아버지의 투자 실패로 삶의 근거지를 중서..

americanart.tistory.com

 

Genre Painting 이라는 회화의 작은 분야가 있다. 우리말로 옮기면 '풍속화'이다.  서민들의 일상적인 삶을 화폭에 옮긴 것이다. 이 '풍속화'가 의미있는 이유는 서양에서 회화를 비롯한 예술은 '가진자'들의 잔치였던 역사가 오랫동안 지배해 왔는데, (성당의 그림들, 왕족이나 귀족들의 초상화) 누군가가 돈내고 초상화를 부탁할 여유가 없는 '무지렁이' 가난뱅이 시민들의 '보잘것 없고 하품나는' 일상을 그림으로 남기기 시작한 것이다.   한마디로 '돈 있는 자들의 그림' 세계에 '돈 없는 자들'이 소재로 등장한 것이 '풍속화'의 의미라고 할 만하다. 

 

지난 2월 9일, 모처럼 온 나라 사람들이 서로 환호하며 기뻐할 수 있었다. 봉준호 감독의 역작 '기생충'이 오스카상을 네개나 거머쥐면서 우리 가슴을 뜨겁게 해 주었다. 책상에 앉아서 이 뉴스를 검색하던 나도 가슴이 뜨거워졌다. 그냥 기쁘고 좋았다.  (사람은 왜 자기하고 아무 상관없는 일에 기쁠까? 나는 골똘히 그 문제를 생각했다.  봉준호가 나하고 아무 상관 없는데 나는 왜 그가 자랑스럽고 기쁘고, 그의 수상 장면을 보고 또 보고 할까? 아무튼 축하 드린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02229

 

'기생충' 조력자 이미경 "난 봉준호 모든 것 좋다, 특히..."

최우수 작품상 수상 무대에 올라 봉준호 감독과 기쁨을 함께 했다.

news.joins.com

 

 

그런데, 시상식장에 등장한 이분이 봉감독 영화의 후원자라는 것에도 나는 수긍했다. 그렇군, 그런 조력자들이 포진해 있었군. 백억이라는 돈이 프로모션에 사용되었군.  아..하...저런 물밑 작업도 이 영광의 밑밥으로 작용한거구나. 그러면 저 사람들이 프로모션에 백억을 안 썼다면, 그래도 기생충이 사관왕에 올랐을까?  이 대목에서 내 고개가 슬슬 오른쪽 왼쪽으로 꼬이기 시작했다. 

 

 

한국 현대사를 살아오면서 나는 귀동냥으로 알고 있다. 한국이 아시안 게임이나 올림픽을 한국에 유치하기 위하여, 피파 월드컵을 유치하기 위하여 얼마나 물 밑 경쟁을 했는지. 그 쾌거 뒤에는 늘 '숨은 조력자' 혹은 '공개된 조력자' 재벌 총수들의 얼굴들이 등장했다. 그 미담을 이용해 국회의원이 된 자도 있었다. 아무튼 대박 소식 뒤에는 한국의 존경받아 마땅한 재벌들께서 돌보고 계셨다.  '기생충'에도 기생충같이 살아가는 나는 알지 못하는 그들의 은혜의 손길이 있었던 모양이다.  좋아 다 좋아. 맘대로 해도 되는데. 늘 자본주의 세상에서는 가진자들이 착하고 선하고 그런거니까.

 

그런데, 

그런데,

 

 

이 기생충이라는 영화가 자본주의 사회의 음지와 양지를 그대로 드러내고, 못 가진자들이 기생충처럼 꿈틀대며 희망도 없이 비굴하고 치사하게 살아가는 속내를  여실없이 보여준것인데, 이 영화가 세계적인 상을 받는 이면에는 여전히 재벌들의 고급취미가 작용하고 있었다는 것이지. 재벌들은....기생충같은 서민을 팔아서 돈을 만드는 기술을 가지셨다. 기생충은 영원히 기생충인데, 머리좋고 착한 재벌들은 기생충을 팔아 돈과 명예를 잡는다. 그게 이 경사스런 사건의 이면 같은거다. 달의 어둡고 추운 이면같은. 

 

 

쟝르화의 소재는 '가난뱅이 서민들의 비루하고 하품나는 일상' 같은거다. 그럼 그걸 돈주고 주문한 사람은 누구냐하면, 돈 많은 사람들이다.  마리 앙뚜와네트가 호화스러운 궁전에서의 삶이 싫증나면 시골의 자그마한 궁전에 가서 즐긴것처럼,  황금에 질린 부자들이 소박한 서민들이 소재가 된 그림을 비싼 돈 주고 사가지고 거실을 장식하고 그랬다.  장르화의 비극은 그 소재가 되었던 사람들은 그 그림을 볼 기회도 없었다는 것이다. (플란다스의 개에 나오는 네로는 루벤스의 그림을 간절히 간절히 보고 싶어했는데, 돈이 없어서 볼수 없었다는 것 아닌가...)

 

우리는 돈 내고 영화표 사가지고 극장에 가서 '기생충' 영화를 통해서 쟝르화 속의 주인공, 기생충인 자신을 관람하고, 재벌은 돈을 백억씩 써서 영화를 홍보하며 파티를 벌인다.  21세기 기생충 사회. 만세이. 

 

 

 

 

 

 

Posted by Lee Eunmee
Sketch2020. 2. 10. 11:30

진중권 "조국, 사회주의 모독" 울컥…"정치, 좀비·깡패 만들어"(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9037551001?input=1195m

 

진중권 "조국, 사회주의 모독" 울컥…"정치, 좀비·깡패 만들어"(종합) | 연합뉴스

진중권 "조국, 사회주의 모독" 울컥…"정치, 좀비·깡패 만들어"(종합), 조민정기자, 정치뉴스 (송고시간 2020-02-09 18:42)

www.yna.co.kr

 

취미 생활을 잘 하다 보면 그것이 생업이 되고 그로인해 '전문가' 반열에 오를 수도 있다. 

 

아무개씨는 조국씨및 그 부인, 아들, 딸 까대기를 취미생활처럼 하시더니, 이제 본격적으로 그를 팔아 먹기 시작한 것 같다.  나 조국 싫다. 아무개씨 만큼이나 조국씨나 그 일가족에 대해서 강한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  조국을 지키겠다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다른 취미 생활을 찾아 보시라'는 생각을 조금 하다 말았다. 각자 취미 생활은 존중해야 하니까. 태극기는 태극기대로 조국부대는 조국부대대로 각자 취미생활로 보는 편이다.  나의 취미 생활은 그냥 잡다하다. 

 

 

그런데, 이분 요즘 아주 '조국' 팔아먹기로 그의 몸값을 올리고 있다.  조국을 그토록 싫어하기도 힘들것 같은데, 또 그만큼 단물을 빠는 사람도 드물어 보인다.  이거, 삶의 아이러니 같은거다. 그가 그토록 혐오하는 조국 가족을 팔아서, 그 구더기 들끓는 이름을 팔아 그가 그 구더기 피를 빨아먹고 사는것 처럼 보인다. 

 

 

조국에서 벗어나 보시면 어떨까? 자기의 아젠다를 가지고 살아보면 어떨까?   뭐, 그것도 그가 사는 방법이므로 내가 뭐랄건 아니지만, 어쩐지 똘똘한 사람이 자기 자신을 이상하게 소비하고 있다는 묘한 느낌이 들어서 한마디.  

Posted by Lee Eunm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