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홈페이지: http://americanart.si.edu/
내가 작성한 또다른 안내 페이지: http://freefeel.org/wiki/VisitTheSmithsonian
위의 지도에서 중앙의 맨 윗쪽에 있는 박물관
워싱턴 디씨에 있는 '스미소니안' 계열 국립박물관들 중의 한가지로 (1) 미국미술 박물관 (2) 국립 초상화 갤러리가 함께 있다. (이곳에 가면 두가지 박물관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이곳 외에도 스미소니안 계열 미술 박물관에 가면 '미국 미술' 작품들을 볼 수 있으므로 '미국미술' 관련 블로그를 업데이트하는 동안 나는 꽤 자주 내셔널 몰 지역의 미술관들을 산책하게 될 것이다. 물론 스미소니안 계열 박물관 뿐 아니라, 이미 소개가 된 필립스 콜렉션이나 코코란 미술관, 국회 도서관, 기타 건물들에 미국 주요미술품들이 전시가 되고 있으므로 볼거리는 풍부하다 할 수 있겠다.
이 많은 미술관들중에서 '미국미술'과 관련된 '왕중왕'은 아무래도 국립미국미술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을것이다. 이곳에 가면 미국 건국초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시기별로 주요 미술품들이 골고루 소개가 되고 있다. 초상화 갤러리에는 미국의 역대 대통령의 초상화실이 있고, 관련 멀티미디어 자료도 볼 수 있다. 미술 박물관 쪽에서는 상설전시, 특별전시, 특강등을 통해 대중들이 예술을 가까이서 즐길수 있도록 돕고 있다. 현재 워싱턴지역의 스미소니안 계열 국립 박물관은 모두 '무료입장'이다. 버지니아에 있는 항공우주 박물관의 경우 '주차비'를 따로 받지만 그곳 역시 입장료는 무료이다.
스미소니안 계열 국립박물관이 전관 무료개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나름대로 세가지를 추측하게 되는데 (1) 그 첫번째는 미국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행정수도의 국립박물관을 무료 개방함으로써, 미국이 문화국가라는 이미지를 심어주려는 것이 아닌가? (2) Smithson 이라는 영국의 재벌이 사심없이 한번도 가보지도 않은 나라, 신생국 미국에 그의 유산을 쾌척하여 그 기금을 씨앗으로 세워진 박물관들이므로 '스미손'씨의 조건없는 '기여'의 정신에 부응하여 역시 돈 없는 '걸인'이라도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문을 열어 놓은 것이 아닌가? (3) 미국의 수도, 그 중앙 국립광장이라 할수 있는 National Mall 에 일년 내내 미국 전역에서 학생들은 수학여행을, 자녀를 거느린 미국인들은 자녀들의 역사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수도를 보기 위하여, 외국인들 역시 미국의 수도를 보기 위하여 방문하게 되는데, 미국인들에게는 '수도에 가면 국립 박물관이 모두 무료다, 우리 미국인들은 이렇게 근사한 나라의 국민이다. 우리는 대접받고 있다'는 환상을 심어줄 수 있고, 외국인 방문자들에게는 '미국은 역시 근사한 나라야'하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데, 이는 입장료 수익을 상회하는 큰 이익을 가져 올수도 있겠다는 것이다. 특히 수십개의 주로 이루어진 미국은 전 국민을 하나로 묶어줄만한 정신적인 '아이콘'이 필요한데, 내셔널몰이 일부 그러한 '아이콘' 역할을 하고, 무료 입장 가능한 국립 미술관들 역시 이런 분위기에 일조한다 할 수 있겠다. 이것이 워싱턴디씨를 수년간 드나들며 관찰한 나의 시각이다.
워싱턴 지역을 통과하는 메트로 (전철) Red Line의 Gallery Place/ China Town 메트로역에서 나오면 바로 박물관 건물이 보인다. (빨간선, 한국의 3호선이 Orange Line 인것처럼 이곳에서 색깔로 노선 구분을 한다. 한국에서 나는 3호선 Orange Line 구역에 살았었는데, 이곳에서도 역시 Orange Line 을 통해 주로 이동한다) 이곳이 갤러리 플레이스, 차이나타운 역인 이유는 이곳에 갤러리들이 있고 또한 박물관 뒷편으로 중국인들의 거리인 차이나타운이 있기 때문이다.
이곳은 도심이면서도 늘 한적한 느낌이 들어서 이곳을 찾을 때마다 마음이 한가로워진다.
1930년대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미술 기금이 마련되었을때, 미국 전역의 화가들이 기금의 도움으로 그림 작업을 할 수 있었는데, 당시 작품들을 재 전시 하고 있다. 오늘날 미국 뿐 아니라 한국,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우리들이 겪고 있는 경제 불황이 1930년대의 경제 암흑기를 연상시킨다.
기형적으로 커다란 꽃, 동물의 뼈, 단순한 선과 면의 주로 그린 조지아 오키프의 대형 그림이 보인다.
3층 링컨 갤러리의 중심에 설치된 백남준씨의 Electronic Super Highway 라는 작품을 볼 때마다 엉뚱하게도 내 머릿속에선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애국가가 흐른다. 여기 한국산 미술가가 설치 해 놓은 미국 최고의 작품을 보라...고 마음 속으로 외치게 되는 것이다. 이곳에 숨겨진 다른 백남준씨의 작품들은 후에 별도의 페이지를 열고 정리하겠다.
미국미술박물관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곳'이다. 3층 링컨 갤러리. 사진 왼편 벽, 형광불빛이 나오는 벽면에 백남준씨의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는 동시대의 조각품, 회화, 설치미술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때로 나는 이곳에 설치된 작품들에 대해서 '설명'을 못하고 입을 다물어버리는데, '말'로는 전달이 안되기 때문에, 나의 설명력에 한계를 느끼기 때문에...몸으로 체험하기 전에는 도무지 짐작이 안되는 작품들이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 워싱턴 디씨를 방문하는 친구가 '어디 봐야해?'하고 물을때 나는 서슴치 않고 '미국미술 박물관'에 가보라고 권하게 되는데, 미국미술이 대단해서라기보다는, 이곳에 와서 꼭 봐야할 보물들이 있기 때문에... 가슴이 컥 막히고 눈물이 쏟아지는 '한국'이 여기 어딘가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국립 미술관의 '심장부'에는 '한국'이 들어있다. 한 예술가가 그것을 이뤘다. 그, 그것을 꼭 꼭 봐야만 한다...
초상화 갤러리의 대통령 초상화들 속에 있는 Ben Shahn ( http://en.wikipedia.org/wiki/Ben_Shahn )의 작품. 뉴딜 정책의 주인공, 미국의 대공황을 딛고 일어선 대통령, 간단하게 FDR 로 통하는 루즈벨트 대통령의 초상이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대통령에 4선했던 사람이다. 네번이나 당선이 되었다는 뜻이다. 세번째 임기까지 무사히 채우고 네번째 임기중 사망했다. 당시 '사회성'강한 그림을 그리던 벤 샨이 루즈벨트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호감을 보이고 사회성 짙은 작품 활동으로 대통령을 도운것으로 알려져 있다. (벤 샨 역시 내가 좋아하는 화가이므로 장차 그에 대한 페이지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이 뮤지엄은 '미음자' 구조로 건물들이 이어져 있다. 그러니까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동서남북 미음자로 한바퀴 돌게 된다. 그리고 그 미음자 구조의 중앙은 코트야드 (Court yard, 중앙홀)이다. 지붕을 수백장의 유리판으로 얹어서 이곳 테이블에 앉아 하늘의 구름도 보고, 저녁에는 달님 별님도 볼 수 있다. 비오는날 이곳에서 비 떨어지는 것을 보면 좋겠다는 상상을 해보는데 아직 비 쏟아지는 날 이곳에 가 본 적은 없다.
꼭 필요해서 뮤지엄샵에서 산 것들. 미국미술사 정리된 것 (할인해서 8달러에 살수 있었다. 아마도 싼맛에 좋아서 샀을 것이다. 갖고 있는 미국미술사 관련 책만 다섯권이다. 하하하.). 그리고 '미술 용어 카드.' 미술 관련 블로그를 열어 놓고 글을 쓰다보니, 내가 미술 용어중 구체적으로 정확히 내용을 알고, 다른 사람에게 쉬운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개념들이 많지 않다는 사실을 절감하게 되었다. 나는 '내가 남에게 쉬운말로 전달할수 없다면, 나는 정확히 안다고 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편이다. 뭐든지 아주 쉬운 말로, 가령 공부를 많이 하지 않으신 '내 엄마'가 내 말을 알아듣고 수긍할 수 있을 정로로 내가 설명할 수 있어야 내가 정말로 아는 것이라고 믿는 편이다. 그러므로 뭐든 설명하기 위해서는 깊게, 상세히 이해해야 하고 이를 가장 쉬운 말로 간단하게 정리 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에서 수업할때, 학생들이 발표 자료를 준비해 가지고 와서 발표를 할 때, 가르치는 입장에서 내가 가장 '재미없어'하는 것은, 파워 포인트 자료에 잔뜩 교재 요약해 가지고 와서 그것을 '낭독하듯' 발표 하는 것이다. 나는 가끔 발표를 하는 학생들에게 아주 기초적인 개념이나 어휘를 가지고 질문을 던진다. 가령 Meta-linguistic, Meta-physical, Meta-cognitive 라는 말이 막 뒤섞여 나오는데, 그 메타가 뭐냐? 묻는다. 그러면 학생들은 우물거리다가 beyond...above ...이정도의 대답을 한다. 그러면 나는 다시 묻는다. "Beyond..above..what? (그게 무슨 말인데?). 그러면, 이미 다른 과정에서 박사학위까지 마치고 온 학생조차 우물거리며 이렇게 말한다, "I know it, but I cannot explain it..because it's a very abstract concept (알긴 하지만 설명을 하기는 힘들다, 왜나햐면 매우 추상적인 개념이라서)." 그러면 나는 대꾸해준다, "If you are not able to explain that concept in plain language, you do not know about it. Don't tell me that you do know it... (만약에 그 개념을 평이한 언어로 설명 할 수 없다면, 당신은 그것에 대하여 안다고 할 수 없다. 안다는 말은 하지 말라.) 잘 모르는 것에 대하여 안다고 말하면 안된다. 잘 모르는 것에 대하여 그냥 베껴다가 읽으면서 자신이 그것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착각해서도 안된다. 내가 그것을 잘 이해하고 있는가, 아닌가, 직시할 필요가 있다. 모르면, 책을 뒤지고 인터넷에 널린 친절한 자료를 뒤져서라도 알려고 노력해야 한다. 'Meta-linguistics knowledge' 란 '언어에 대한 지식'을 가리킨다. 메타 피직스란 물리 세계에 대한 지식, 그러므로 철학을 메타 피지컬 학문이라고 하는데, 물리 세계 너머에서 물리세계에 대한 사색을 하는것, 그것이 철학의 시작인 것이다. Meta-cognitive awareness 는 앎에 대한 지식. 내가 무엇을 아는가 모르는가에 대한 자기성찰 그것을 말한다. '나는 아는가 모르는가?' 자기 성찰은 '메타'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어떤 말을 하고나서 문법적으로 그것이 잘 못 되었음을 파악하는 능력, 그것이 메타-언어 능력이다. 내가 평이한 말로 설명 할 수 없다면, 나는 아직도 정확하게 모르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배움과 소통에 대한 나의 신념인데, 그 신념대로 나를 채찍질 하는 것은 참 힘든 일이다. (그런데 내가 왜 내 전공도 아닌 미국미술을 가지고 씨름을 시작했단 말인가? 가끔 회의가 들기도 하지만, 그래도 진도 나간다. 왜냐하면... 미국미술이 좋아서 :-] )
그러니 공부를 해야...
(엄마가 읽고 수긍 할 수 있는 블로그... 그렇게 만들고 싶은데, 그것도 쉽지 않다.)
전철역 입구의 각종 무료 주간 안내지 상자들. 그 알록달록한 통들이 서있는 것이 발랄해 보인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 다시 메트로 역
워싱턴 디씨 메트로
메트로 스테이션 역에서 Orange Line 으로 갈아타야 한다. 벽화가 보이길래 사진기에 담아 보았다. 이런 사소한 것들이 거리의 풍경을 이루는 것이고, 이런 것들이 쌓여서 문화가 되고, 미술사의 일부가 되는 것이므로.
2009년 9월 19일 금요일 오후 방문. redf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