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rican Art History Sketch2011. 1. 16. 01:28

Train in Coal Mine (1968) Oil on Fiberboard 광산의 기차
Jack Savitsky (1910-1991)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1층 Folk Art 갤러리
사진 이은미, 2011, 01,14


스미소니안 미국 미술관은, 미국 미술의 역사를 한 눈에 보여주는 곳이다. 이곳에는 Folk Art 라고 불리우는, 전시장도 있어서 주로 무명의  일반 사람들이 그리거나 만든 작품들이 전시가 되고 있다. Grandma Moses 의 작품도 한점 걸려있고. 간혹 작가의 이름이 알려진 작품들도 보이는데, 이 기차그림도 작가가 알려진 경우에 속한다.

미술관에 갈 때마다 나는 새로운 그림을 발견 할 때가 있는데, 정말 새로운 그림이 거기 걸려있다기보다는, 늘 무심코 지나쳤던 것인데 문득 내 눈에 다가올때, 그 때 새로 만난 듯한 기분이 드는 것이다. (물론 전시 기획자가 계절에 따라서 작품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그 기차 그림은 내가 이곳에 올때마다 늘 그자리에 걸려있던 것이었는데, 이 작품이 문득 내 마음에 노크를 했다.  왜 하필 이것이 유독 눈에 띄었을까?  밖은 차가운 겨울 날씨인데, 그림이 환하고 따뜻하고 힘차보여서 그랬을까?

아니, 무심코 지나치다가 작품 제목에 덧붙여져있던 설명이 눈에 들어왔기 때문일까?
스미소니안이 붙여 놓은 태크 (이름표)에 적혀 있던 구절을 기억에 의거 풀어 놓자면 -- 대다수의 민간 예술가들 (folk artists)은 그림 공부를 따로 하지도 않고 평생 자신의 생업에 열중하여 살다가 노년에 일자리에서 물러난 후에, 취미로 그림 그리기를 시작한 경우가 많다.  그들은 생애의 생생한 경험과 기억에 의거하여 자신들의 기억들을 그림으로 옮긴다. 잭 새빗스키 역시 탄광촌에서 나고 자라서 광부로 35년 가까이 일을 하다가 건강이 악화되어 1959년 탄광일을 그만두면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내가 블로그에서 소개한 Gransma Moses나 Horace Pippin 이 바로 그렇게 그림을 시작한 분들이 아닌가.

우리 엄마는 회갑을 며칠 앞두고 중풍으로 쓰러진후, 중풍을 이겨내고 그림 그리기를 시작하여 칠순때 개인전시회를 열었던 분이기도 하다. 아마도 미국의 풍속화가들에 대한 몇줄짜리 설명을 읽다가, 나는 내 엄마의 이야기를 그 속에서 발견해 낸 것이리라.  내 엄마. 위대한 내 엄마.  나는 이 그림앞에 서서, 워싱턴에 우리 엄마가 오면, 엄마 손을 끌고 이리 와서. 이 그림을 엄마에게 보여주면서, 엄마가 얼마나 위대한 일을 해 낸것인지 설명을 해주고 싶다는 생각을 골똘히 골똘히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그림의 작가는 탄광노동자들이 많이 걸리는 그 진폐증과 같은 질환으로 고통을 겪었고, 후기에는 유화의 그 강한 휘발유 냄새도 그의 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즐기던 유화도 포기하고 색연필과 같은 무해한 도구를 이용했어야만 했다고 혼다. 그는 다행히도 풍속화가 발굴에 노력한 어느 평론가의 지원을 얻어서, 살아서 영광을 누렸다고 한다. 지금도 웹을 찾아보면 그의 작품이 판매가 되고 있기도 하다.  탄광노동자 아무개씨는 은퇴후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여, 그의 작품이 미국의 국립 미국 미술관에 영구 소장되는 영예를 누린 것이다.  폐는 먼지로 썩어들어갈 망정, 그가 그린 세상은 밝고 힘차다. 저 열차를 타고 탄광 노동자들은 광산과 집을 왕래하며 평생을 살아갔으리라.
Posted by Lee Eunmee

The Girl I Left behind Me, 1870-75, oil on canvas

Eastman Johnson 1824-1906

2009년 12월 29일 스미소니안 미국미술관에서 촬영

 

 

 

2008년 5월 스미소니안 미국미술관에서 촬영

 

 

제가 스미소니안 미국미술관에 처음 가본것은 2008년 5월의 일입니다.  스미소니안 미국미술관은 내셔널 몰 지역에서 조금 외떨어진 곳에 있지요.  메트로 스미소니안 역에서 내리면 양쪽에 줄줄이 서있는 스미소니안 박물관들과 국립 박물관, 그밖의 전시장들을 보는 것으로도 세월이 마냥 흘러가기 때문에, 신경써서 가지 않으면 스미소니안 미국미술관은 잊혀지기도 쉽습니다.  그래서, 이곳은 다른 미술관들에 비해서 한가한 편입니다. 출입구에서 안전검색도 하지 않고요.  저도 워싱턴으로 이사한지 거의 일년이 다 되어갈때 그곳에 처음 가본 셈이지요.  그날 처음 '미국미술관'에 가서 반했던 작품중에 하나가 바로 이스트만 존슨의 이 그림입니다. The Girl I Left Behind Me 내가 뒤에 남겨두고 온 여인 (소녀 혹은 처녀).  내가 뒤에 남겨두고 온 여인이라... 그림도 심상치가 않거니와, 거기다 제목까지.

 

이 그림을 보는 사람의 심상에 따라서 그림도 다르게 해석될수 있지만, 사람들은 대개 비슷한 것 같습니다.  우리는 누군가를 무엇인가를 기다리면서 살아가지 않나요?  아니 어쩌면 우리는 누군가를 무엇인가를 두고서 먼길을 떠나지 않나요?  나는, 떠나는 쪽이라기보다는 기다리는 쪽인것 같습니다.  내가 떠나기 보다는 내 주변의 사람들이 떠난것도 같고요 (혹은 이는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해서 그런것일지도 모릅니다.)

 

나는 늘 제자리에 있는데, 내 주변의 사람들이 내 곁을 떠났다는 이런 상실감을 갖고 사는 사람이 이 그림을 볼때는, 관객 자신이 언덕위에서 바람을 맞으며 한없이 서서 기다리는 저 여인의 입장이 될 겁니다.  누군가를 버리고 떠난 사람은 돌아서서 이 여자를 쳐다보는 입장이 되겠지요. 나는 이 그림을 볼때, 내가 언덕위에 서서 바람을 맞고 서있는 입장이었던것 같습니다. 

 

어쨌거나 이 그림이 참 인상적이었던지라, 그림 앞에서 사진도 찍고, 미술관 책방에서 이 그림을 표지로 한 미국미술사책도 한권 사고 그랬지요. 2008년 5월 어느날.  그날의 내 그림자는 아직도 저 그림앞을 서성일지도 모르지요.

 

이 그림은 미국 남북전쟁 (Civil War: 1861-1865)을 배경으로 한 것입니다. 전쟁이 일어나자 남자들은 전쟁터로 떠나고, 여인들은 남아서 사랑하는 남편이, 애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게 되었지요.  남자들이 전쟁터로 가건, 영장을 받고 입대를 하건, 사랑하는 남자를 보내야 하는 여성들 (애인, 아내, 어머니등) 역시 떠나는 사람 만큼이나 애절해집니다. 바람은 심상치 않게 불고, 백척간두같은 언덕위에 서 있는 여인은 바람을 정면으로 맞이하고 있습니다. 가슴에 들고 있는것은 성경책이겠지요 아마도. 신념과 사랑에 의지하여 저 여인은 힘겨운 세월을 저렇게 고집스럽게 버틸것입니다.

 

이스트만 존슨은 실제로 1862년에 버지니아의 마나싸쓰 (Manassas)에서 전쟁을 치렀고, 당시의 전쟁의 경험과, 전쟁 당시 젊은이들이 부르던 아일랜드 민요에서 이 그림의 제목을 따왔다고 합니다:

My mind her full image retains

Whether asleep or awaken'd

I hope to see my jewel again

For her my heart is breaking

내 마음은 그녀의 모습으로 가득찼네

잠을 잘때나 깨어있을때나

보석과도 같은 내 사랑을 다시 볼수 있기를

그녀 생각에 가슴이 무너진다네

 

혹시나 싶어서 유튜브 뒤져보니 노래가 있군요...

 

 

 

 

이스트만 존슨 (1824-1906)은 우리가 이전 페이지들에서 살펴보았던 19세기의 대형 풍경화가들 Thomas Moran, Frederick Edwin Church, Albert Bierstadt 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태어나고 활동했던 화가 입니다.  그런데 그는 장르가 달랐죠.  이스트만 존슨을 얘기할때는 그를 '장르 화가'로 칭하는 일이 많습니다. 장르 미술 (Genre Painting)은 한국어로 옮길때는 '풍속화'라는 것이 가장 적절해 보입니다. 서민, 민중의 삶의 풍경을 화폭에 담는 것을 말하지요.  인류의 역사에 '회화'가 등장한 이래로, 회화는 주로 귀족층들이 누리던 예술 분야였습니다. 특히 서양미술을 살펴보면 르네상스 이전이나 그 이후에나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왕가의 인물들, 귀족들, 부유한 사람들 혹은 역사, 풍경등이었지요.  서민들의 삶을 화폭에 옮긴 화가들은 많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화가들은 대개 부유한 사람들의 '주문'을 받고 그림을 그리는 식으로 생활을 꾸려 나갔는데, 가난뱅이 서민이 화가에게 돈을 주고 그림을 주문을 할 일이 없었다고 봐야죠.  르네상스 이후에 서양 예술에서 서서히 민중의 삶에 눈을 돌린 화가들이 나타나는데  부르겔이나 베르미어등이 바로 그런 화가들이었습니다.  밀레의 저녁종이나 혹은 반 고흐의 '감자먹는 사람들' 같은 빈농의 삶의 풍경, 그러한 것들이 바로 이런 '풍속화'의 범주에 들어가지요.

 

미국에도 이렇게 '풍속화'를 즐겨 그린 화가들이 존재하는데, 이스트만 존슨도 그중 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 풍속화의 얄궂은 운명이 뭔고하면,  풍속화의 소재는 '가난한 서민들'이쟎아요. 그런데 이런 그림을 향유한 층은 여전히 부유층이었다는 것이죠.  사람이 고기만 먹다보면 김치도 먹고 싶어지쟎아요.  말하자면, 고급 가구로 잘 차린 집의 거실이나 서재에 이런 풍속화를 한점 걸고, '소박하고,' '목가적인,' 삶을 찬미하는 취미를 가진 미술 애호가들이 있었다는 것이지요. (뭐 일부러 해진 옷 같은거 - 빈티지 스타일이라고, 돈 많이 주고 다 떨어진 옷 사입고 폼 잡는 것도 비슷한 행동이긴 하죠. 그것도 멋이고 자랑이다 이거죠.)  아무튼, 이런 풍속화는 돈많은 사람들의 또다른 수집 취미의 대상이었다고도 합니다.

 

 

이스트만 존슨은 메인주의 유복한 정치인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16세가 되던 1840년에 보스톤의에서 리토그래프 판화를 배우고, 1849년에는 독일의 뒤셀도르프로 가서 본격적으로 미술 수업을 받습니다. 그후에 헤이그, 파리등지를 돌며 역시 유럽 미술을 배우게 됩니다.  1853년에는 그의 아버지가 워싱턴 디씨의 정부 고위 공무원으로 발령받아 워싱턴으로 이주하여 백악관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살게 됩니다. 1855년에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1859년 뉴욕시에 작업실을 열고 활동을 하게 됩니다. 그는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당시의 서민들의 삶을 그리는가하면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습니다.  그는 1872년 2월 20일,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개관할때 공동 설립자로 이름을 남기게 됩니다.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헬렌 켈러가  '만약 내가 단 하루 시력을 갖게 된다면  보고 싶은 것'들중에 포함되기도 하는 미국 최대의 미술관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스트만 존슨이 이 미술관의 설립에 앞장을 섰던 인물이군요.

 

자 이제 그의 따뜻하고 정겨운 풍속화 작품들을 살펴볼까요.

 

이 수련따는 그림은, 밀레의 이삭줍는 여인들과 비슷한 모티브로 보이죠?

Gathering Lilies (수련따기) 1865, oil on board

Eastman Johnson 1824-1906

2009년 12월 13일 워싱턴 National Gallery of Art 에서 촬영

 

 

 

 

 

The Early Scholar, c1865, oil on academy board on canvas

Eastman Johnson 1824-1906

2009년 12월 13일 워싱턴 National Gallery of Art 에서 촬영

 

이 꼬마 학생에 대해서는 http://americanart.textcube.com/210  이전에 관련 페이지를 적은 적이 있습니다.

 

 

 

Fiddling His Way, 1866, oil on canvas

Eastman Johnson 1824-1906

2009년 11월 29일 크라이슬러 미술관에서 촬영

 

 

이 그림은 1866년에 그려진 것으로 보아, 노예해방 이후에 자유민이 된 흑인이 악기 연주를 하며 떠도는 풍경을 그린것으로 보입니다.  백인의 중산층 가족으로 보이는데요,  여인이 안고 있는 아기까지 포함하여 아이가 여섯이나 되는군요.  흑인이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소리에 귀를 기울이거나 턱을 받치고 있는 아이도 보입니다.  빗자루 막대기에 기댄채 잠시 음악에 귀를 기울이는 여인의 모습도 편안해 보이지요.  비록 그림이지만, 그림 한구석에서 미국의 깽깽이 소리가 경쾌하게 울리는 것 같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 발견하여 사진을 찍은 것인데, 조명이 하도 어두워서 사진 상태가 흐릿합니다. 이 그림이 참 마음에 들었어요, 그래서 여러장 찍었는데 쓸만한 사진이 한장도 없더라구요. 아쉽습니다. 참 사랑스러운 그림인데요. 시골 농가의 헛간에 아이들이 한가롭게 앉아 있어요. 설령 이 가로대에서 떨어진다해도 아래에는 건초더미가 쌓여 있으므로 다칠 일도 없습니다. 아이들은 가로대에 나란히 앉아 종알거리고 노래를 부르거나, 그러다가 말다툼이 벌어져서 하나가 울음을 터뜨릴지도 모릅니다.  아기를 무릎에 안고 있는 언니도 보이지요?  이 그림을 보고 있으면, 아이들이 제비새끼들처럼 지지배배 떠드는 소리가 들리는것 같습니다.  아마도 그래서 화가도 이 그림의 제목을  '헛간의 제비들'이라고 붙였을겁니다.

 

 

Barn Swallows, 1878, oil on canvas

헛간의 제비들

Eastman Johnson 1824-1906

2009년 9월 19일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 촬영

 

 

간단히 Eastman Johnson (1824-1906)의 풍속화들을 몇 점 살펴보았는데요,  이스트만 존슨에 대해서 요점정리를 해보자면

 

 1. 그는 풍속화가로 알려져 있으며, 서민들의 일상의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2. 그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공동 설립자이다

 3. 그는 19세기 대형 풍경화가들이 활동하던 비슷한 시기에 풍속화를 그렸던 사람이다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잠깐 퀴즈. 그런데...풍속화 (genre painting)가 뭐죠?  :)

 

 

2010년 2월 8일 RedFox

 

 

 

 

 

 

Posted by Lee Eunmee
American Art History Sketch2009. 11. 24. 13:10

19세기 미국의 풍속화가 Edward Hicks (http://americanart.textcube.com/184)페이지를 열었는데, Edward Hicks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퀘이커 교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보이는 것은 미국의 식품 매장 어디에 가나 흔히 보이는 '퀘이커'라는 식품 브랜드 입니다.

 

 

 

 

퀘이커에서 만들어내는 것으로는 오트밀, 시리얼, 각종 곡물이 들어간 식사대용 '영양바,'  쿠키 등이 있습니다. 저역시 가끔 뜨거운 물에 타서 먹는 오트밀로 점심을 때우기도 합니다.  퀘이커는 한국의 '삼양라면'처럼 미국의 일반 서민들의 생활 깊이 스며든 식품이라 할 만 합니다. (제가 삼양라면이나 혹은 퀘이커를 광고할 의도는 없습니다. 그냥 비유컨대 그렇다는 것이지요.)

 

 

 

펜실베니아에서 태어난 Edward Hicks 는 본디 부모님이 '영국국교 (성공회 = Anglican)' 소속이었지만,  성장과정에서 힉스를 친아들처럼 돌봐준 아주머니의 영향으로 퀘이커교도가 됩니다. 그 아주머니가 퀘이커 교도였다고 합니다.

 

퀘이커 교단이 미국 문화사에서 어떤 위치인가 잠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미국에 메이플라워를 타고 처음 온 사람들은 '필그림'들이었습니다.  기독교의 어떤 교파였습니다. 이들은 당시의 영국국교(Anglican)에 반대하여 종교적 자유를 찾아 신대륙에 건너온 사람들이었습니다. 이후에 뉴잉글랜드 지역에 '퓨리턴 (puritan = 청교도)'들이 역시 영국국교에 반대하여 종교적 자유를 찾아 들어옵니다.  퓨리턴들인 매사추세츠에서 시작하여 뉴잉글랜드 지역을 장악하게 됩니다.

 

한편 뉴잉글랜드의 남쪽,  버지니아 제임스타운에는 '영국국교회' 앵글리칸들이 정착을 합니다. 그리고 뉴잉글랜드와 버지니아의 중간쯤에 위치한 펜실베니아에 퀘이커교도들이 정착을 합니다.  펜실베니아에 영국식민지를 처음으로 개척한 사람이 바로 Edward Hicks 의 풍속화 Peaceable Kingdom (평화의 왕국)에 등장하는 William Penn 입니다. 그는 퀘이커 교도였습니다.  윌리엄 펜은 영국국교에 반대하는 신앙을 가졌다는 이유로 옥스포드 대학에서도 추방을 당한 사람입니다.

 

퀘이커교단에서는 '모든 인간은 신과 직접 대할수 있다'는 사상을 갖고 있으며 교회조직이나 직업적인 성직자의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개인의 양심과, 묵상을 통한 신과의 대화를 귀하게 생각합니다. 이들은 전쟁을 거부하고 평화를 사랑하며, 옷을 입는 일이나 삶을 꾸미는 일에 대해서도 소박함을 유지하려 하였습니다.  이들이 영국에서 박해를 받다가 신대륙의 펜실베니아 지역에서 자리를 잡게 된 것입니다.   이미 영국에서 종교적 이유로 박해를 받은 경험이 있었던 펜은 그가 개척한 식민지를 '모든 종교적 박해를 받는 사람들의 피난처가 되도록 노력을 합니다.  그리하여 이 지역에 영국인뿐 아니라 유럽의 여러나라 이민자들이 몰려옵니다.  Edward Hicks 의 그림에 묘사된대로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안들과도 협정을 맺고 서로 평화롭게 협력하고 사업을 해 나갔습니다. 

 

자 미국 초기 역사에서 각기 다른 기도교 교파들이 미국의 어떤 지역을 토대로 성장했는지 간단히 정리해볼까요?

 

 

 1. Pilgrims (필그림):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플리머스 항에 도착하여 인디언들의 도움으로 생존에 성공했던 사람들 입니다. 이들이 가을 추수후에 하늘에 감사하고, 선량한 이웃이었던 인디언들에게 잔치를 베풀며 함께 기쁨을 나눴던 것이 미국의 Thanks Giving 추수감사절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2. Puritans : 그런데 필그림들은 후에 주도 세력이 되는 Puritan (청교도) 들에게 밀려나거나 흡수되고 맙니다. 청교도들이 뉴잉글랜드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게 됩니다.

 

 3. 한편 버지니아 남단에 King James 식민지가 개척되는데, 이곳에는 영국 국교 (Anglican = Episcopal = 성공회)신도들이 정착합니다. 버지니아에 앵글리칸 교회들이 많이 보입니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일 것입니다.

 

 4. 그리고 뉴잉글랜드와 버지니아 사이의 중부, 펜실베니아에 퀘이커 교도들이 자리를 잡아서 City of Brotherly Love = 필라델피아를 일으키는데, 이곳에는 종단이나 교파에 상관없이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이주민들이 몰려와 자리를 잡게 됩니다.

 

미국사에서 '퀘이커'의 위치를 살펴보면 퀘이커 교도였던 Edward Hicks의 풍속화에 그려지는 미국의 풍경, 노아의 방주 그림등에 대하여 좀더 생생하게 이해할수 있게 되지요.  (아, 그런 배경이 있는 그림이구나, 아하!)  윌리엄 펜이 펜실베니아를 일으킨것은 17세기의 일이지만 19세기의 에드워드 힉스에게는 살아있는 영웅이었을겁니다. (다른 페이지에서, 엉클 톰스 캐빈 이야기를 잠깐 적은 적이 있는데요.  흑인 노예들이 자유를 찾아 도망을 칠때, 이들을 보호해주고 도와주는 사람들이 퀘이커 교도들이었지요.  그 소설에서 처음 퀘이커교도들에 대해서 알게 되었기 때문에 제게는 이들이 아주 '착한' 사람들로 각인이 되고 말았습니다.

 

 

 

참고문헌:

 

1. 앙드레 모로아. (1991)  미국사. 신용석 옮김. 기린총서. 기린원. 5장 (pp 46-55)

2. 청솔역사교육연구회. 이야기 미국사. 청솔출판사

 

 

 

Posted by Lee Eunmee
American Art History Sketch2009. 11. 24. 11:05

미국에서 일년중 11월의 네번째주 목요일은 우리나라의 추석과 흡사한 추수감사절 (Thanksgiving Holiday)입니다.  각급 학교나 회사, 공공기관들은 추수감사절 전날인 수요일부터 공식적인 휴일에 들어가서 수, 목, 금요일 공식 휴일을 갖습니다. 토요일 일요일에는 원래 일을 안하는 사회이니까,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5일간 휴가를 갖는 셈입니다. 

 

그 추수감사절이 금주로 다가와서, 이와 관련 그림을 소개할까 합니다.  추수감사절 관련 그림이야 다양한 화가들이 그려냈지만, 저는 펜실베니아 출신의 풍속화가 에드워드 힉스 (Edward Hicks 1780-1849)의 그림세계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추수감사절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사진을 클릭하여 확장시키면 큰 화면을 보실수 있습니다.

 

이 그림은 제가 워싱턴 디씨의 국립 미술관 (National Gallery of Art)에서 찍은 힉스의 Peaceable Kingdom (평화의 왕국) (c.1834)이라는 유화입니다.  제가 이 작품의 제작년도를 c.1834 라고 표기했지요? circa 1834 혹은 그냥 c.1834 라고 적은 것은 '대략, 짐작컨대' 1834 년쯤으로 추정된다는 뜻입니다.  어떤 역사적 사실을 표기할때 영문으로 circa (c.)  표시가 있으면 이는 '대략 추정된다'는 뜻입니다.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 그림의 주인공들은 누구일까요?  크게 두가지로 나눠 볼 수 있는데 (1) 사람들 집단, 그리고 (2) 동물들이 보이지요. 우선 사람들을 들여다 볼까요? 구체적으로 누구인지 잘 알수 없지만, 짐작컨대, 서양사람들과 아메리칸 인디언들이 모여서 뭔가 하고 있는것 같지요?  자세히 들여다보면 뭔가 '거래'가 되는것 같습니다. 유럽인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상자에서 뭔가 꺼내어 인디언들에게 보여주고 있지요. 선채로 뭔가 설명을 하는 유럽사람이 보입니다.  이들의 거래의 장면이 평화로워 보입니다.

 

 

 

동물들이 모여있는 광경을 볼까요? 사자, 호랑이, 양, 소, 송아지... 육식동물과 초식동물들이 태평하게 어울려 있습니다. 천사처럼 보이는 아이들이 이 동물들과 어울려 있습니다.  한마디로 '천국'에서나 가능한 풍경이겠지요?

 

 

에드워드 힉스가 꿈꾸던 '평화의 왕국'은 이렇게 신생국 아메리카에 정착하러 들어온 사람들과 이 터전에서 이미 살아온 인디언들이 서로 자신들이 가진것을 나누고 공유하는 사회였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Thanksgiving Day (추수감사절)의 유래는, 초기 미국 정착민들에게 도움을 준 아메리카 인디언 원주민들에게 감사의 뜻으로 식사대접을 하고 잔치를 한것에서 비롯됩니다.

 

 

아래의 그림은 제가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 찍어온 것입니다. 제목은 Penn's Treaty with the Indians (윌리암 펜과 인디안의 협정) 입니다. 창작년도는 c.1830-1835.  대략 1830년에서 1835년 사이에 그려졌을거라 추정된다는 뜻입니다.

 

이 사람들을 들여다보세요. 위의 그림속의 사람들과 약간 차이가 나지만 거의 동일한 구도로 비슷하게 그려냈습니다. 단 특별한 차이가 있다면, 가운데 서 있는 남자가 위의 그림에서는 그냥 두 팔을 펼치고 있는데, 아래의 그림에서는 그의 왼손이 펼쳐진 두루마리의 어떤 부분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두루마리'가 새로 등장했다는 것 외에는 사람들 풍경이 위아래 비슷해 보이지요? (물론 위 아래의 그림을 나란히 놓고, 그림에서 서로 다른것이 무엇인지 찾아가면서 시간을 보내도 심심풀이가 될것 같습니다.)

 

 

액자에 Penn's Treaty 라고 적혀진 것으로 보아, 두루마리에는 미국정착민들과 인디안들 사이의 협정서가 적혀 있는것 같습니다.

 

 

 

 

 

 

 

 

자 여기서 제가 독자여러분께 한가지 '질문'을 던져 보고 싶습니다.

 

앞서 소개한 '평화의 왕국' (c. 1834) 과 후에 소개한 '윌리엄 펜의 협정' (c. 1830-1835) 두장의 그림은 각기 대략 1834년 추정, 1830-1835년 추정 이렇게 표시가 되어 있는데요. 그림속의 사람들의 모습과 주변 풍경을 보면 어느 그림이 역사적으로 선행되는 그림일까요?   (여우야, 여우야 네가 평화의 왕국 그림을 앞에 소개했고, 윌리엄펜의 협정을 뒤에 보여줬으니까 그 순서가 아니겠니?  --이런 추측을 하실수도 있을겁니다.)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제가 그림을 들여다보듯 저의 독자도 제 시선을 따라 그림을 읽어줬으면 하는 마음이 들어서 입니다.  (저는 지금 제 애인한테 그림 설명해주는 기분으로 그림을 읽고 있으니까요.)  평화의 왕국 그림 배경은 그냥 '자연'입니다. 강이 흐르고, 숲이 있고,  퀘이커 교도들을 연상케하는 복장을 한 사람들과 미국 원주민들이 모여서 물물교환을 하는듯한 풍경이지요.  윌리엄펜의 협정 그림 배경 풍경에는 '인간 문명'이 포함됩니다.  (아마도 델러웨어 강일것인데) 강에 배들이 떠있고, 건물들도 보입니다.  그리고 어떤 '조약문'이 적혀있을 두루마리가 등장을 합니다. 역사적으로 '후'에 일어난것으로 추측되지요.  그렇지만 위의 두 그림중 어떤 그림을 에드워드 힉스가 먼저 그렸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미술사가들도 잘 알수가 없기에 circa 표시를 했을것인데, 제가 추측하기에는 위의 평화의 왕국을 1834년에 그렸다면, 윌리엄펜의 협정 그림은 그 이후가 될것 같습니다. (추측일 뿐입니다.)

 

에드워드 힉스 (1780-1849)는 펜실베니아의 유복한 영국교 (성공회)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그가 18개월 되던해에 어머니가 사망합니다. 그 이후로는 어머니와 절친했던 친구들의 보호속에 자라났는데 그들이 퀘이커 교도였습니다.  힉스는 마차 장식 그림에 재미를 붙여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마차장식이나 표지판등을 그리는 것으로 돈벌이를 하게 됩니다. 그가 퀘이커 교단에 입문한것은 그가 20대 청년시절 부터였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에드워드 힉스는 마차장식그림이나 표지판 그림을 그리는 일에 열중하면서 퀘이켜 교단의 설교자도 하게 됩니다. 그는 신과의 내면적 대화를 강조하는 퀘이커 교단의 교리에 심취했던듯 합니다.

 

에드워드 힉스는 1820년대부터 그가 사망하기까지 대략 30여년간 그의 '평화의 왕국'을 그려냈는데, 현존하는 작품만도 60여점에 이른다고 합니다.  제가 워싱턴의 국립미술관에서 찍어온 작품도 이 60여점 중의 하나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미술사책을 들여다보면, 시기별로 평화의 왕국 그림 내용이 조금씩 조금씩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제가 웹에서 얻어온 것인데요 (조만간 윌리엄스버그에 가서 작품을 보고 올 생각입니다) 이것은 액자 자체까지 그림작품입니다.  액자에 새겨진 문구까지 힉스가 모두 선택하여 새겼다는 뜻입니다.  (힉스가 마차 장식과 표시판 제작을 했던 경력을 여기서 확인할수 있지요. 그림을 통해 그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까지도 '말'로 새겼습니다.

 

The wolf shall also dwell with the lamb,

and the leopard shall lie down with the kid

and the calf and the young lion and the fatling together

and  a little child shall lead them.

 

늑대가 또한 어린양과 함께 살며

표범이 염소새끼와 함께 누우며

송아지와 어린 사자와 살진 짐승이 함께 할것이며

한 아이가 이들을 이끌것이라

 

(이사야 11:6)

 

 

 

 

 

이 그림은 The Peaceable Kingdom of the Branch (c.1825-1830) (95.9x81.9 cm) 으로 그의 평화의 왕국 연작중에서 초기의 작품이라 할수 있습니다.  본래 이 '평화의 왕국' 시리즈는 영국의 Richard Westall 이라는 화가의 동명의 작품이 있었는데, 구약성서를 바탕으로한 Westall 의 그림세계에 크게 감화를 받은 힉스가 자신의 스타일로 그의 신앙심을 그가 그가 가장 잘 할줄아는 '그림'의 세계에 접목을 시켰다고 할수 있지요.  그림의 배경은 실제로 버지니아에 존재하는 '천연 다리 (Natural Bridge)' 입니다.  일치하지요?  저도 이곳을 지나친적이 있는데, 이 풍경이 힉스의 그림에 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었지요.  그른 상상력을 발휘하여 구약에 나오는 이야기를 그림에 옮기거나, 혹은 역사적 사실을 그렸지만, 분명히 상상에 기반한 미술작업을 했지만 그러나 그림의 배경에 그는 그가 관찰하거나 목도했던 풍경들을, 역사적 사실에서 벗어나지 않는 풍경들을 그림의 배경으로 그렸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의 그림들을 시기별로 보면서 당시 역사의 전환이나 풍경의 전환을 살펴보는 일도 재미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그림을 제대로 읽으려면, 관련 역사도 좀 알아야 하고, 그러다보면 그림 들여다보다가, 책들여다보다가, 도끼자루가 썩지요...)

 

 

 

 

http://cache.virtualtourist.com/3060528-NATURAL_BRIDGE_VIRGINIA-Natural_Bridge.jpg

 

 

 

 

다음 그림 역시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 사진 찍은 것으로 제목은 Noah's Arc (노아의 방주) 입니다. 1840년 작품입니다. 노아의 방주는 기독교 경전에 실린 일화입니다.  동물들 표정이 참 순하고 착해보이죠?  아이들과 미술관에서 이 그림을 발견한다면, "무슨 동물이 있나 찾아보자"하고 놀이를 해도 좋을것 같습니다. 영어교육에 관심이 있다면 영어로 동물 이름을 불러봐도 좋겠지요. 혹은 노아의 방주 이야기를 들려줘도 좋을것 같습니다.

 

 

 

 

 

 

 

 

에드워드 힉스는 그의 신앙심 (성서)을 기반으로 한 사람과 동물의 평화로운 공존의 주제

 (1) 평화의 왕국

 (2) 노아의 방주

를 시리즈로 그렸지만, 그가 그린 풍경화도 남아있습니다.  다음은 워싱턴 국립미술관에서 사진찍은 작품입니다.

 

 

 

The Cornell Farm (1848)

oil on canvas

 

 

이 작품은 Edward Hicks (1780-1849)가 68 세쯤에 그려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가 남긴 최후의 몇점에 해당하는 그림이겠지요? 

 

(어디엔가에 기록을 한 적이 있는것 같은데, 저는 어떤 작품을 볼때, 그것이 미술작품이건 혹은 문학작품이건, 어떤 작품을 들여다볼때는 이것이 사회, 문화, 역사적으로 어떤 배경이 있는지, 이 작품을 창작할때 작가는 대략 몇살쯤이었는지 이런 상황을 들여다보는 편입니다. 이 작품의 연도를 들여다보고 그의 생몰년내를 들여다보니, 어쩐지 이 그림이 색다르게 다가오더란 말이지요.)

 

 

이 풍경화 속에는 다양한 무늬의 소와 말이 한데 어우러져있고, 돼지, 양도 있군요. (이들이 비록 가축들이긴 하지만, 여전히 평화의 왕국이나 노아의 방주 시리즈에서 보이는 동물들의 평화가 감지 되지요?),  들판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보이고, 반듯하게 줄지어 서있는 나무들이나 길, 그리고 집들이 전체적으로 조화롭고 정돈되어 있다는 느낌을 줍니다. 원시림의 시대가 아닌, 정돈된 인간 문명의 시대가 그의 말기 작품에 담겨져 있습니다.

 

 

에드워드 힉스의 그림들은 '풍속화 (Folk Art)'로 분류됩니다.  무엇이 풍속화이고 무엇이 그냥 '미술'인가?  엄밀한 분류기준이 있어보이지는 않습니다. 에드워드 힉스는 정규 미술 수업을 한 사람이 아니고, 마차장식 '기술자'쯤으로 그림 그리는 일을 시작했고, 이렇게 실용적으로 시작된 그의 그림 이력이 평생 그와 함께 했습니다.  전에 정리했던 Grandma Moses (모세할머니 http://americanart.textcube.com/category/Grandma%20Moses ) 역시 미술수업을 받은적이 없는 풍속화가로 분류 됩니다.  그러면 이쯤에서 우리는 한가지 의문에 도달하게 됩니다.  어떻게 미술 전문 교육을 받지도 않은 사람들이 미술 전문교육을 받은 사람들을 능가하는 일이 발생하는가? 왜 서툰 그림이 이따금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것일까? 왜 서툴고 조악해 보이는, 균형도 안맞고 엉뚱한 그림이 국립 미술관의 전시실을 차지하는 일이 발생하는것일까?  여기서 더 나아가서, 그러면 '교육'이란 무엇인가?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런 질문까지도 가능해집니다.

 

 

이 질문에 누군가 전문가가 뭐라고 조언을 해주신다면 좋겠습니다. 

혹은 제가 계속 공부를 해 나가다가 어느날 어떤 실마리에 도달하면, 다시 이 페이지로 돌아와 이야기를 마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드워드 힉스의 그림은 저를 빙긋 웃게 만듭니다.  그의 그림속의 동물들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기분이 좋아져서,  바보 사자처럼, 얼간이 표범처럼, 이빨빠진 늑대처럼 빙긋 웃게 됩니다.

 

즐거운 추수감사절 되시길.

 

 

참고문헌:

 

1. 앙드레 모로아. (1991)  미국사. 신용석 옮김. 기린총서. 기린원. 5장 (pp 46-55)

2. Philadelphia Museum of Art: Handbook of the Collections (2008) Philadelphia Museum of Art

3. Frances K. Pohl  (2008) Framing America: A social history of American art (2nd ed.). Thames & Hudson: New York, NY.

 

 

 

 

Posted by Lee Eunmee

 

 

Grandma Moses 모세 할머니: Anna Mary Robertson  (September 7, 1860 – December 13, 1961)

 

 

달력 속의 추억

 

 

 

내가 2008년에 내 연구실에 걸어놓고 내내 들여다보던 달력은 Grandma Moses 라는 화가의 민속화 (folk art)로 채워져 있었다. 이 달력을 살 때만 해도 나는 작가에 아무런 관심도 없었다. 단지 열 두 달 달력에 채워진 열 두 장의 그림들이 어쩐지 낯익고 정겨웠다. 분명 미국의 풍속화들인데 이상하게도 그 속에 채워진 사람들이 모두 내 가족, 내 형제, 내 고향 사람들처럼 보여졌으며, 그 그림들 역시 내 고모나 언니가, 혹은 내 친구들이 초등학교 시절 그림일기장에 그려 놓은 크레파스 그림들처럼 보였다. 그 정겨움 때문에 나는 달력을 골랐고, 그 달력은 그렇게 몇 달을 나와 함께 보냈다.

 

그 해 4, 나는 워싱턴 디씨 시내에 있는 국립 여성 미술관 (National Museum of Women in the Arts)에 들렀다가 그 곳 뮤지엄샵에서 아주 아름다운 미술책 한 권을 발견했다. 어디서 많이 본듯한 친숙한 그림들. 그 책을 살 때 까지도 나는 그 책 속의 화가와 내 달력 속의 화가를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어느 날 문득, 나는 내 달력과 그 책에 소개된 그림의 화가가 모세 할머니라는 것을 자각했다. , 나의 무신경과 둔감함이라니. 매일 달력을 쳐다보면서 따뜻함을 느꼈던 내가, 정작 화집을 사놓고도 작가의 이름조차 신경을 안 쓰고 있었다니. 이런 사연으로 2008년 한 해를 나는 모세 할머니의 그림을 보며 살게 되었다. 

 

빨간 드레스의 추억

 

 

 

1864년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 추수감사절이 국가적인 공휴일로 제정된 바로 이듬해, 소녀 씨씨(Sissy)에게 아버지는 약속한다, 마을에 가서 빨간 드레스를 사다 주겠다고. 어린 씨씨는 온종일 아버지가 돌아 오시기만을 기다렸으리라. 그런데 아버지가 마을에 나가보니 마침 휴일이라서 가게들은 모두 문을 닫았다.  아버지는 꼬맹이 딸을 위하여 조금 멀리 떨어진 마을까지 가서 약속한 대로 빨간 드레스를 한 벌 샀다. 정확히 빨강은 아니고, 벽돌 색이나 황토색에 가까웠을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아버지는 딸에게 한 약속을 성실히 지켰다. “결국 나는 내가 빨간 드레스라고 생각했던 그 옷을 입어보지 못했지 (So I never got what I call a red dress).” 이제 파파 할머니가 된 소녀 씨씨는 그렇게 그 빨간 드레스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소녀는 빨갛지 않은 빨간 드레스를 받으며 실망스러워도 불평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배웠으리라. 우리 삶은 늘 그런 식이 아니던가?

 

 

내가 꼬맹이 이던 시절, 할머니는 늘 나를 남자아이 같은 상고머리로 만들어 놓았고, 내게 주어지는 옷은 늘 파란색 이었다. 내 바로 위의 언니는 늘 머리를 길게 기르고 곱다란 빨간 리본을 하고, 빨간 주름치마를 입고, 빨간 스타킹을 신고, 빨간 운동화를 신었다. 나는 늘 파란 옷을 입었는데, 심지어 내게 주름치마를 입힐 때 에도 그 주름치마 역시 파란색이었다. 지금도 언니와 내가 손을 잡고 고향의 연못 앞에서 나란히 서 있는 흑백 사진이 있는데, 그 흑백 사진 속의 언니와 나의 옷 색깔은 그저 짙은 회색처럼 보이지만, 나는 아직도 그 옷들의 색깔을 기억한다. 나는 늘 파랑이었다. 혹은 남색이었다. 그것은 아들 욕심이 많았던 할머니가 첫째로 아들 손주를 맞이한 후에, 둘째로 손녀를 보고, 그리고 나서 셋째로 나온 것이 또다시 손녀딸이 되자 초조함을 느끼고는 다음엔 손자녀석을 볼 욕심으로 셋째인 나를 사내놈처럼 키웠기 때문일 것이다. 할머니의 소원은 이루어졌다. 나는 사내동생을 보았다. 사내동생을 본 후에도 나는 여전히 파랑이었다. 어느 해에 내가 부모님과 떨어져서 할머니 품에서 지낸 적이 있는데, 영문도 모르고 할머니 품에 맡겨진 나는 세상 근심 없이 뛰노는 듯 했으나, 해가 질 때마다 서럽고 그리운 마음에 집 뒤에 숨어서 혼자 울곤 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서울에서 엄마가 다니러 오면서 내게 남색 스웨터를 하나 사다 주셨다. 엄마와 할머니가 툇마루에 앉아 나를 기다리고 있다가, 동네를 쏘다니다가 흙 강아지가 되어 나타난 나에게 그 남색 스웨터를 머리에 씌워 입혀주셨다.  그것은 우리 할아버지가 입어도 맞을 정도로 아주, 아주 커다란, 짙은 하늘같이 푸르딩딩한 스웨터였다. 그리고 아주 따뜻했다. 너무 따뜻해서 진땀이 났다. “엄마, 나도 이제 서울 가는 거지?” 나는 엄마 품에 매달려 강아지처럼 꼬리를 치며 놀다가, 그 남색 스웨터를 동네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자랑을 하기 위해 마당 밖으로 나갔다. 동네를 돌아다니며 내 또래 아이들에게 서울에서 엄마가 왔으며, 이렇게 좋은 스웨터를 엄마가 사왔으니 이제 나는 서울에 갈 거라고 자랑을 늘어놓았다. 내가 으스대며 집 안 마당으로 들어서니 툇마루의 엄마가 보이지 않았다. 엄마는 내가 울고 떼를 쓸까 봐 나 몰래 혼자 서울로 가버리셨던 것이다. 나는 집 앞 한길 가, 흙먼지 날리는 그 길가에 앉아 해가 지도록 꽥꽥대며 울었다. 어린 시절에 여러 가지 가정 사정으로 식구들과 떨어져서 할머니 댁에서 얼마가 지내는 일은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겪는 성장의 과정일 것이다. 내 이웃에도 그렇게 가족과 떨어져 지내던 아이들이 있었고, 사실 할머니 할아버지가 부모와 다를 바가 없는 존재들 이었으므로 대개들 큰 상처 없이 이런 과정들을 겪으며 지나간다. 우리 엄마는 아기를 낳아 키우면서 그 위로 세 명의 아이들을 제대로 돌보기가 힘이 들었으므로 할머니가 나를 그냥 좀 맡아서 돌봐 주신 것뿐, 그 속에 비극적 가정사가 숨어 있었던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나는 늘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말없이 사라질까 봐 불안해 하곤 한다. 내 머릿속에는 아직도 해가 지도록 흙먼지 이는 길가에서 혼자 꽥꽥대고 울고 있던, 철 이른 털 스웨터를 입고 진땀을 내며 울고 있던 아이가 하나 살고 있다. 나는 그 아이를 달래 줄 방법을 잘 모른다.

 

모세할머니는 그이가 씨씨였던 시절, 그 소녀시절에 가져보기를 열망하였으나 영원히 가질 수 없었던 그 빨간 드레스를 죽을 때까지 기억에서 지우지 못했을 것이다. 그의 그림에는 빨간 드레스, 빨간 코트를 입은 여인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리고 모세 할머니의 빨간색을 볼 때마다 나는 엉뚱하게도 파란 멍처럼 각인된, 나의 파랑 어린 시절이 떠오르곤 하는 것이다.

 

주디스 아줌마가 오셔요

 

 

 

내가 갖고 있는 Designs on the Heart 표지 그림에는 미국 뉴잉글랜드 지방의 겨울 풍경이 담겨있다. 이 그림 속에 나오는 사람들이 각기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헤아려보는 것도 재미 있을 것이다. 물동이를 나르는 사람들은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다. 내가 어린 시절에 우리 집 뒷마당에 펌프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우물이 없는 집에서는 우리 집으로 물을 푸러 왔었다. 이웃집에는 앞마당에 우물이 있었지만 그 집 떠꺼머리 총각은 우물물을 푸는 대신에 벌컥벌컥 펌프질을 하여 물을 퍼다가 자기네 집 부엌 가마솥에 붓곤 했다. 그것이 한결 빠르고 속이 시원했기 때문 일 것이다.  눈썰매를 타는 사람도 있고, 눈 속에 뛰어다니는 개도 있다. 어디론가 바삐 가는 사람도 있고, 마차를 타고 가는 사람도 있다.

 

 

책 속에 특히 내 눈길을 끄는 그림이 있다. “주디스 아줌마가 오셔요Here comes aunt Judith” (1946)라는 제목이다. 아마도 모세 할머니는 그이가 씨씨로 통하던 어린 시절, 멀리서 찾아온 친척 아줌마, 이모, 혹은 고모를 떠올렸을지도 모른다. 아이는 주디스 아줌마를 발견하고 달려갔을 것이고, 주디스 아줌마는 네가 씨씨로구나! 그 사이에 아주 많이 컸는걸!” 하며 반겼을 것 같다. 이 그림을 보면 그림 속의 아이는 씨씨가 아니라 나 자신인 것도 같다.  주디스 아줌마는 내 고모들이다. 우리들과 나이차이가 많이 나지 않아서 늘 큰언니처럼 우리와 함께 뛰놀며 우리를 감싸주던 작은 고모들 같다.

 

모세 할머니

 

 

 

모세 할머니는 1860년에 태어나 1961년까지 건강하게 살았다. 장장 101년을 이 지구별에 머무르다가 떠났다. 1세기를 넘게 산 모세 할머니. 그이의 본명은 Anna Mary Robertson 이다. 그는 뉴욕주 (New York) 의 농민의 딸로 태어났는데, 그의 부모는 열명의 아이를 낳았고, 그 중에 다섯 명의 자식들이 생존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는 Anna Mary 를 씨씨(Sissy)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집에서 가사를 도우며 학교에 다니던 씨씨는 열 두 살이 되던 해에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큰 마을의 어느 집으로 일을 하러 떠난다. 말하자면 식모살이를 하러 떠난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그 당시 미국의 농촌에서는 아이들을 어디론가 일하러 보내는 것이 늘 있는 일이었다고 한다.

 

 

 

나도 자라나면서 내 고모 또래의 마을 처녀들이 도시로 식모살이를 하러 야반도주 하거나, 혹은 결국 버스 차장이 되거나 (후에 안내양 이라는 이름이 생겼고, 안내양 이후에는 버스 안내양이 사라지고 말았다), 마을에 생긴 공장에 공원으로 취직하는 광경을 익히 보아왔다. 내 고모들도 중학교를 졸업하고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채, 전자회사 공원으로 일을 하러 갔다. 그때는 공순이, 공돌이라는 말을 많이 썼다. 나와 함께 태어나 자라난 고향의 친구는 내가 중학교에 들어가던 해에, 보퉁이 하나를 챙겨가지고 엄마와 함께 상경했다. 그 모녀는 서울의 우리 집에서 하루를 지내야 했는데, 언니와 내가 함께 쓰던 방에서 함께 자게 되었다. 그 친구는 교복을 입고 학교로 향하는 언니와 나를 열적게 쳐다봤다. 그 친구는 미아리 어느 약국 집에 식모살이를 하러 갔다. 그 친구는 한스러워 하거나 억울해 하지도 않았다. 그는 착실히 식모살이를 했고, 덕분에 시골집에서는 그 돈으로 오라비 고등학교에도 보내고, 송아지도 사서 키우고, 집안을 일으킬 수 있었다. 사람들은 슬퍼도 슬픈 내색 없이 살기 위해 살아갔다.

 

씨씨는 성장하면서 이집 저집으로 흘러 다녔다. 어느 집에서는 씨씨가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해주었고, 비록 일하는 아이였지만 가족과 다름없는 대우를 받으며 살았다. 그렇게 흘러 다니며 살다가 역시 비슷한 환경에서 일을 하는 청년을 만나 결혼하게 된다. 그 청년의 성이 모세 (Moses)라서 결국 Anna Mary Robertson Moses 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모세 할머니라는 별명은 남편의 성 때문에 붙여지게 된 것이다.

 

결혼한 씨씨는 평생 동안 여염집 아낙처럼 부지런히 일하며 살았다. 그이는 근면한 사람이었다. 아이들도 무탈하게 착하게 자라났다. 남편도 착하고 성실했다. 씨씨는 집안에서 수놓기를 즐겨 했는데 나이가 칠십이 넘어 팔십에 가까워지자 눈이 침침해서 바늘땀을 잘 볼 수가 없었다. 혼자서 바늘귀를 꿰기도 힘들었다. 평생 즐겨오던 일인데 할 수가 없다니! 낙담한 그에게 그의 여동생이 바느질 대신에 그림을 그려보면 어떨까 제안을 했다.  바느질을 할 수 없어 심심해하던 모세 할머니는 팔순이 다 되어 붓을 들었다. 그리고 나무 판이나 종이 위에 수를 놓듯, 마음속에 떠오르는 기억들을 형상화 해 나갔다. 추억 속의 사람들이 모세 할머니에게 다가왔다.

 

 

  다음회에 계속 ...

 

설마 신종플루는 아니겠지, 고열을 동반한 감기 증상 때문에 스스로 가족들과 격리되어 방구석에서 약먹고 자고, 약먹고 자며 보내는 시간. 음 약기운에 잠이 들곤 했는데, 잠 오는 약을 먹어도 잠이 안와서 난감. (내참, 감기때문에 글을 쓰고 있다니. 사마천은 궁형을 당한후에 역사책을 일필휘지로 날렸다고 하던가.)

Posted by Lee Eunm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