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12.29 Regionalism (2) : Grant Wood, American Gothic
Realism2009. 12. 29. 01:10

우스개이지만,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집은 뭘까요?  워싱턴 디씨의 '백악관 White House'이겠지요.

그러면 미국에서 두번째로 유명한 집은 어디에 있는 무슨 집일까요?

 

 

American Gothic (1930)

Grant Wood

74.3 x 62.4 cm.

Oil on Beaverboard

어느해 팔월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뮤지엄에서 촬영

위의 사진 상태가 하도 딱해서, 그냥 웹에서 다른 이미지를 얻어왔습니다. 자세히 보실수 있을겁니다.

 

 

 

(정답) 미국에서 두번째로 유명한 집은, 아이오와 (Iowa)주에 있는 이 집이라고 합니다.

 

File:2007-06-04-Gothic House.jpg

http://en.wikipedia.org/wiki/American_Gothic_House

 

 

아이오와 주의 어느 시골 마을에 있는 집인데요.  이 집이 1930년 Grant Wood가 발표한 American Gothic 의 실제 배경이 되어 주었던 집입니다. 창문모양하며, 일치하죠?  이 그림으로 그랜트 우드는 1930년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서 주최한 미술대회에서 대상을 받고, 그리고 그의 그림역시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 팔려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미술관에 가시면 이 그림을 보실수 있습니다.

 

여자 모델은 Nan 이라는 이름의 그랜트 우드의 동생이었고, 남자 모델은 동네 치과의사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랜트가 훗날 간암으로 사망했을때 그의 전 재산이 이 여자분 Nan 에게 넘겨졌고, 그후에 그의 작품들이 모두 아이오와의 한 미술관에 기증되고 맙니다.  이 남자와 여자의 관계에 대해서도 설이 분분합니다.  아버지와 노처녀 딸일것이라는 설도 있고, 노총각 노처녀로 늙어가는 오누이로 보인다는 설도 있고.  여성은 좀 뚱해보이고, 남성은 메마르고 고집스러워 보이지요.

 

 

이 '어메리칸 고딕'은 미국인들이 알고 있는 세계 3대 걸작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나머지 둘은?  모나리자의 미소, 그리고 휘슬러의 엄마 라는 작품인데요. :) 휘슬러의 엄마라는 작품은 영화 Bean (1997)의 소재가 되기도 했지요. 아직 안보셨으면 한 번 보셔도... 아무튼, 그정도로 이 아메리칸 고딕 이라는 작품이 유명합니다.  미국인의 상징이 되어 버린 것이지요.

 

이 그림은 날카로움과 부드러움이 공존합니다. 교회의 첨탑을 연상시키는 수직의 뾰족한 지붕과 창문 모양, 남자가 들고 있는 날카로운 삼지창, 금테안경을 낀 장년의 성마른듯한 표정의 사나이. 남자가 입고 있는 검은 웃저고리와 그 안에 받쳐입은 흰 셔츠는 고집센, 성직자 같은 이미지를 줍니다. 그가 입고 있는 낡고 주름진 바지와 그의 오른손에 들려있는 삼지창이 그를 중부의 농부라는 것을 일깨워주지요.

 

남자 옆에 딸인지 누이동생인지 혹은 아내인지 알수 없는채로 서있는 여자의 눈빛이나 굳게 닫은 입매가 무뚝뚝하고 꾸밈없으며, 도통 사교성이라고는 없어 보입니다. 역시 입고 있는 검정 드레스나, 흰 옷깃, 그리고 단정하게 매달고 있는 브로치는 이 여인에게 빈틈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그가 입고 있는 느슨한 앞치마가 우리의 숨통을 틔워주며, 그녀의 황금빛 동그란 머리통의 윤곽이  그 뒤의 고딕식 지붕의 예리함을 누그러뜨려 줍니다. 역시나 여자의 머리통과 비슷하게 동글동글한 배경 숲이 예각의 지붕과 퉁명스러운 사람들의 표정과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그림에 나오는 인물들의 표정이나 고딕양식을 연상시키는 건물을 통해 그랜트우드가 전하고 싶었던 것은 미국 중서부 평원지대에서 정직하고 경건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경건한 삶이라고 풀이하기도 합니다. 성자와 같이 경건하게 흙을 파고 경작하며 살아가는 미국 농민의 삶. 이것이야 말로 미국인이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또다른 편에서는 그랜트 우드가 정말로 의도했던 것은 이런 삶에 대한 냉소적 풍자였다고도 합니다.  경건한 신앙인으로 살아가는 미국인들의 도덕적 우월감 따위를 신랄하게 비꼬는 그림이라는 것이지요.  어느쪽 해석이 좀더 설득력이 있어 보이시나요?

 

이 아메리칸 고딕은 미국의 정치인들이 선거전에서 이미지를 빌려다 쓰기도 했고, 유명한 텔레비전 드라마의 타이틀로도 사용되었으며, 유명 애니메이션에 출연하기도 합니다. 구글에서 American Gothic 이미지를 찾아보시면 다양한 변형들이 '무수하게' 나와줍니다. 작품의 예술성을 떠나서 이 작품은 '제목'과 '분위기'와 어느정도의 '행운'이 겹쳐서 미국의 '아이콘'이 되었다고 할 만합니다.

 

 

2009년 12월 28일 redfox

 

 

 

 

 

Posted by Lee Eunm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