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낙원'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12.29 Regionalism (3): Grant Wood, 영원한 평원, 우주, 시간, 추억
Realism2009. 12. 29. 08:18

July Fifteenth 1938

Lithograph

2009년 9월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 촬영

 

아이오와의 화가 그랜트 우드

 

 

제가 미국 워싱턴과 뉴욕을 위시한 동부의 큼직한 미술관에서 발견한 그랜트 우드의 풍경화는 필라델피아 미술관에서  간신히 찾아낸 아래의 리토그라피 작품이 전부 입니다.  검색을 해보면 워싱턴의 국립미술관 (National Gallery of Art)이 아름다운 우드의 풍경화를 다수 소장하고 있는데, 일반 관객에 공개 된 것은 한점도 없습니다.

 

(참고로, 미술관 자료를 검색해보면 Currently on View,  Currently Not on View 이렇게 표시가 나옵니다.  현재 볼수 있다 없다 알려주는 것이지요. 자료화가 잘 된 곳은 이런 표시가 나오고, 자료화가 안 된 곳에서는 무슨 작품이 소장되어 있는지도 불분명 합니다. 심지어 자료화가 잘 된 곳으로 정평이 난 스미소니안 미술관에서도, 제가 가서 보고 찍어온 작품이 소장품 명단에 실려 있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나 아쉬운 마음에, 웹에서 그랜트 우드의 풍경화 자료 몇점을 빌려 왔습니다.  그랜트 우드의 풍경화가 어떤 것인지 꼭, 꼭, 보여드리고 싶거든요. (넌 미술관에서도 못봤다면서 그걸 어떻게 알지? 묻고 싶으시죠...  제가 심심풀이로 하는 짓이 책방에서 비싼 화집 들여다보는 일이거든요.  화집에서 발견한 명품을 보러 미술관으로 가기도 하고, 미술관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그림들을 화집에서 찾아보고 설명을 읽기도 하고요.)

 

 

그랜트 우드는 미국 중서부의 아이오와주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활동하다가 거기서 죽은 '진정한' 아이오와의 화가 입니다.  미국지도에서 아이오와를 찾아보면,  미국 가장 중심부에 네브라스카가 있고요, 그 동쪽에, 네브라스카와 일리노이 사이에 아이오와가 있습니다.

 

 

꿈의 구장

 

 

'아이오와' 하면 생각나는 것은?  만약에 미국인들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대개 '옥수수밭!'이라고 대꾸 할 겁니다. 중부 평야지대인 이곳은 그야말로 '가도 가도 가도 가도' 옥수수밭이 펼쳐져 있습니다. (너 그걸 어떻게 알어? 가봤어?  묻고 싶으시죠... ) 제가 아이오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게 된 것은 옛날에, 옛날에, 제가 미국땅을 밟아보기도 전에 한국에서 봤던 영화를 통해서였습니다.  당시 한창 미남 배우 명단을 진두지휘하던 케빈 코스트너가 주연했던 Field of Dreams (한국 제목, 꿈의 구장, 1989). 그 영화의 배경이 아이오와 평원이었습니다.  한 남자가 (케빈 코스트너) 그의 옥수수밭에서 바람소리같은 어떤 음성을 듣습니다.  그리고는... 그 남자는 별로 경영실적도 없어 망해가는 옥수수밭을 파헤치고, 그곳에 '야구장'을 만듭니다.  야구장이 생기자, 옥수수밭에서 야구선수들이 나와요. 왕년의 유명했던, 그러나 지금은 죽었거나 혹은 업종변경하고, 꿈을 포기한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이 야구장에 모여듭니다.  아, 꿈의구장 영화가 나온것이 벌써 20년이 지나는 것이군요.  그러면, 내가 그 영화를 본지도 20년 가까이 되었다는 뜻이군요.  아아...

 

 

 

꿈의 구장 영화 덕분에, 저에게는 아이오와의 끝없이 펼쳐진 옥수수밭과 그 하늘과, 바람소리가 아주 생생하게 각인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 옥수수밭에 찾아가면 내 잃어버린 꿈도 되찾을수 있을까?  이런 상상까지 하고야 마는 것이지요. (영화 아직 안보셨다면, 지금 보셔도 여전히  감동이 유효할것입니다. 시대를 초월하는 고전이 될 만하죠.)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사랑과 이별, 그리고 쓸쓸함에 대하여

 

그리고나서, 또다시 아이오와를 만난것은, Bridges of Madison County (1995) 에서였습니다. 사실 원작 소설의 사상 초유의 히트를 쳤죠.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라는 제목으로 한국에도 번역 소개가 되고, 난리가 아니었습니다.  지금도 기억나는데, 라디오 에프앰 틀어놓고 음악듣다보면, 연극인이면서 라디오 방송 진행도 했던 '손숙'씨가 그 차분하고 이지적인 목소리로 촉촉하게 깔면서,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읽어보셨나요?..." 뭐 이런 광고도 해대고 그랬습니다. 남자친구가 여자친구에게, 남편이 아내에게, 뭐 아무튼 연인들이 사랑의 선물로 주는 아이템중의 하나였다니까요.  심지어는 매우 완고하고 구식이며 남성중심주의적인 부산 사나이 우리 형부도 이 책을 우리 언니에게 선물 할 정도였으니까요. 부부가 이걸 같이 읽고 울고 짜고 장난이 아니었댑니다. 하하하.

 

저는요, 그제나 지금이나, 잘난척하는 경향이 심해서, 남들이 다 근사하다고 그러면 괜히 아니꼬와서 쳐다보지도 않았지요. (헤헤헤). 쳇, 대중문화라니...하면서 속으로 빈정거리고 있었겠지요.  그러다 어느날 누군가가 이 잘난척하는 저를 위해 글쎄 교보문고에서 '수입원서'를 사다 준 겁니다. 참.. 내... 그래가지고, 매우 잘난척을 하면서 그 얇다란 영문소설책을 읽고야 만것이지요. 꼬부랑 글씨로 읽자하니 골치가 아파서 뭐 크게 감동을 받은것 같지도 않아요.  1995년에 클린트 이스트우드님이 직접 메가폰을 잡으시고 주연까지 도맡으셨는데, 저는 그로부터 한 5년쯤 후에 비디오로 이 영화를 본것 같아요.  (소설에 별 감흥이 없었으므로 영화도 찾아다니며 볼 열정이 없었지요.)

 

 

 

 

제가 이 소설을, 혹은 영화를 인상깊게 봤던 아니건 간에, 그때의 이미지는 남아 있어요. 어떤 이미지냐하면, 이탈리아계 이민자 여성 프란체스카가 미국의 중부, 온종일 걸어가도 끝도 보이지 않는 막막한 평원지대의 농가의 아낙네로 산다는 것이 얼마나 답답하고, 막막할까.  온가족이 모두 사랑해주지만, 행복한 아내이며 엄마이지만, 이 여자의 일상은 얼마나 지루하고 그리고....쓸쓸하고...그럴까...  프란체스카의 그 막막한 고립감에 공감을 했던 것이지요.  어쩌다 삶이 주는 축복 혹은 기회처럼 불꽃같은 정열을 불태우고 난후, 불꽃놀이가 끝난 밤하늘을 바라보듯 남겨진 그여자의 여생은 또 얼마나 쓸쓸했을까 뭐 그런 생각을 골똘히 하고 그랬죠.  그 메디슨 카운티는, 그리고 그 다리들은 아이오와에 실재로 존재하는 것들입니다.

 

 

그래서, 아직 미국땅도 밟아본 적이 없던 제게 아이오와는 이렇게 영화와 소설속의 '끝없는 초록 평야' 그리고'막막함'으로 다가왔던 것이지요. 그리하여, 어느날 화집을 통해 아이오와 출신의, 평생 아이오와에서 살다 죽었다는 그랜트 우드를 발견했을때, 머릿속에 갖고 있던 이미지들과 그랜트 우드가 전해주는 이미지들을 뒤섞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그랜트 우드는 제 곁에 다가왔습니다.

 

 

 

 

추억, 잊혀진 평원의 나라

 

 

 

제가 The Life and Times of the Thunderbolt Kid (http://americanart.textcube.com/166 ) 책을 읽은 것도, 빌 브라이슨이 워낙에 재미있는 글쟁이이기도 하지만, 아이오와주 태생이었던 그가 회상하는 아이오와의 삶이 어땠는지 궁금하기도 했어요. 빌 브라이슨은 현재 아이오와의 주도인 드 모인 태생이고, 드 모인과 그 변두리의 삶을 그려나갔지만, 그가 전하는 중서부 사람들의 정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지요.

 

미국에서 사는 사람들 사이에 이런 농담이 있어요. "중서부에는 뉴스가 없다. 그러므로 중서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무슨 말씀인가하면 미국의 역사를 봐도 그렇고 뉴스의 발원지가 되는 곳은 극히 한정적입니다. 미국의 동부 몇개 지역, 그리고 서부 캘리포니아 대도시.  그 외에 미국의 중부에 대해서 얼만큼 아시나요? 사실 우리가 상상하거나 인지하는 '미국'은 뉴욕, 워싱턴, 텍사스 목장,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뭐 그런 곳입니다. 미국 역사의 현장은 대개 동부에 몰려있고, 명문 대학들도 동부에 몰려있고... 그에 비해 미드웨스트는 그저 '옥수수밭'이나 '콩밭'으로 기억되는 그런 곳이지요.  (여담이지만, 제가 2년여전에 플로리다에서 공부를 마치고 버지니아로 왔을때, 버지니아의 학교에 전학한 저희 아이들이 학교에서 들은 농담: "플로리다에도 학교가 있어?" 헤헤헤 워싱턴이나 버지니아의 아이들에게 플로리다는 디즈니랜드의 나라, 돌고래의 나라, 사철 비치에서 놀수 있는 휴양지였던 것입니다. 거기에 학교가 있고 학생이 있다는 상상이 안된다는거죠.)

 

 

 

 

The Life and Times of the Thunderbolt Kid: A Memoir

 

그렇게 잊혀진 평원의 나라.  가도가도 옥수수밭 뿐인 나라. 그런나라에서 우리의 그랜트 우드는 태어나고 자라고, 활동하가다가 그곳에 뼈를 묻었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미술가들은 모두 유럽 유학을 거쳐 뉴욕으로 몰려들던 시기에 미드웨스트에 짱박혀서 옹고집으로 미드웨스트의 풍경을 그린 화가 그랜트는 확실히 좀 독보적인 존재라 할 만합니다. 그래서 미국의 지역주의를 논할때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자주, 가장 주목해서 그랜트 우드를 이야기 하게 되는 것입니다.

 

 

시간과 우주가 평원에서 만나다 Star Trek 2009

 

 

지난 봄에 Star Trek 2009년판이 극장에서 개봉했지요. 보셨나요? (재밌는데...)

 

그 영화 볼때요, 자세히 보시면, 아버지 없이 성장한 소년이 자전거를 타고 뭐 활개치고 돌아다니면서 우울감을 달래는데요, 그때, 이정표에 IOWA 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소년은 막막한 IOWA 평원에서 '우주 기지'를 발견해요.  실제로 아이오와에서 찍었는지는 알수 없지만, 영화에 IOWA 라는 찌그러진 이정표가 보이지요.

 

왜 하필 아이오와?  저야 모르죠. 스타트렉의 광팬이 아니라서요. 원작 소설이나 극에도 그런 설정이 있었는지 알수 없지요.  하지만, 아이오와가 뭐 꼭 동떨어어진 설정은 아니지요.  미국에서 UFO 봤다는 사람들 있고, UFO를 불러내겠다는 사람들 모임도 있고 그렇쟎아요.  그리고, 끝없는 초원에 이상한 무늬 만들고 그러는 사람들 있쟎아요. 아이오와가 평야지대이고 목초나 옥수수, 콩 이런거 한없이 펼쳐진 곳이라서 이 평원에 커다란 고무래 같은것을 끌고 돌아다니며 기하학적인 무늬를 만든다음에, 외계인이 만들고 갔다고 뻥(?)치고 그러는 사람들도 있지요.  :)  아이오와는 '우주기지'로서 아주 적당한 지역이지요.

 

그런데요, 우주가 별건가요...우리도 '우주인' 이쟎아요. 지구도 우주의 일부고, 우리도 우주의 일부이고. 우리는 영원속에 존재하는거죠.

 

 

 

그랜트 우드의 풍경속에는 '영원한 시간'이 존재한다...

 

 

아래의 이미지들은   제가 웹에서 빌려온 작품들 인데요.  이 글의 머리에 제가 사진 찍어온 작품과 아래의 풍경화들을 보시면서 이들에게 공히 보이는 어떤 특징들을 찾아 볼까요?  작품들을 찬찬히 보시지요.

 

 

 

 

Stone City 1930 (스톤 시)

 

 

Sprign Turning 1936 (봄이 오네)

 

 

Fall Plowing (가을의 쟁기질)

 

위의 풍경화들에게서 공히 보이는 요소들은

 

 1. 둥근, 곡선의 언던과 평야가 끝없이 겹쳐져 있어, 이런 평야가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죠.

 

 2. 시선은 어떤가요?  작가가 땅에 발을 붙이고 있는것 같은가요?  작가는 이 풍경을 아주 높은 산위나 고층건물 위에서 혹은 비행기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다보고 있는 것 같아요. 그것이 가능했을까요? 그러니까 이 구도는 현실적인 구도는 아니죠.  환상의 구도이지요.  (이를 영어로는 bird eye view 라고 합니다.)

 

 3. 나무들도 대개 둥글둥글 하고요 길도 곡선으로 흐르고 개울도 곡선으로 흘러요

 

 4. 그러면 곡선이 아니고 직선이거나 예각인것은? 그것은 인간이 만들어낸 구도입니다. 건물, 다리,  인간이 밭을 갈아놓는 형태 이러한 '인위적'인 것들은 직선이거나 예각이지요.

 

 5. 마찬가지로 '자연'과 '사람이 품을 들여서 일군' 농장이 공존합니다.

 

 6. 풍경속에 있는 사람은 굉장히, 굉장히 작아요.  온통 초록색인 Spring Turning 이라는 작품을 보셔요. 거기 보면 희게 보이는 것이 사람이 가축을 몰아 밭을 가는 모습인데요, 그 사람과 그 사람이 갈아야하는 밭의 크기를 비교해보셔요.  "저 밭을 언제 다 갈아, 엉엉엉" 한숨이 나오죠. 울음을 터뜨려도 이해해요. :)  하지만,  이 풍경화속에 슬픔이나 고통은 보이지 않습니다. 세상은 태평하게 펼쳐져있고, 깨알같이 작은 인간은 그 태평한 땅을 영원히 영원히 갈아엎고 농사를 짓는 것이지요.  세상은 넓고 시간은 느리게 느리게 흘러가지만, 사람 역시 서두르지 않고 영원속을 묵묵히 걸어갑니다. 가다보면 밭은 갈리고, 씨앗은 뿌려지고, 옥수수는 익을것이며, 콩은 깍지를 터뜨리며 깔깔댈것입니다.

 

아 저는 사실, 그랜트 우드의 풍경화를 화집에서 들여다볼때면 네덜란드의 풍속화가로 알려진 브르겔 (브르헬)의 아키로스의 추락 같은 그림이 떠오릅니다.

 

 

 

그림의 주제나 시사하는 바는 다르지만, 묵묵히 고개를 숙이고 밭을 가는 브르겔 그림속의 농부와 그 구불구불한 밭의 모양이 그랜트 우드의 풍경과 많이 닮았거든요.  조망하는 듯한 작가의 시각도 똑같지요.

 

스타인벡이 분노의 포도 (Grapes of Wrath)를 통해 묘사한 당대의 농부들의 현실은 비참한 수준이었는데요, 그랜트 우드는 이러한 시대적인 풍경과는 동떨어진채 위에 보이는 영원히 지속될것 같은 '낙원'의 풍경을 중서부의 풍경이라고 그려냈습니다.  사람들이 그의 그림을 사랑하는 이유는 아마도,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류의 향수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영원히 돌아갈수 없는 낙원, 영원히 돌아갈수 없는 고향.  그것에 대한 그리움으로 그랜트 우드의 '우화'와도 같은 풍경화를 바라보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랜트 우드의 풍경화를 좋아하는 저 역시...

 

그리움때문에... 지금은 근사한 서울 근교 아파트 촌으로 변해버려 그 흔적조차 찾을수 없는 제 고향집과 우리 할아버지가 평생 갈고 씨를 뿌린 우리집 논, 밭, 과수원이, 우리집 앞 개울이, 그 고향마을이 어른이 된 후에 보면 작고 보잘것 없었지만, 어린 시절, 몸도 작고, 세상도 모르던 어린 시절에 그 고향마을은 끝도 보이지 않는 평원이었으며, 온종일 걸어도 그 끝에 닿을 수 없는 왕국이었지요.  제 추억속에도 그랜트 우드의 풍경화가  존재하는 것이지요.

 

바로 이런 그리움이, 인종과 언어와 사회적 배경을 초월하여 어떤 그림에 함께 다가가게 만들지요. 그렇게 우드의 풍경화 속의 시간은 영원에 맞닿아 있는 것이지요.

 

 

내 카메라에 담아온 그랜트 우드의 우주

 

 

 

 

 

2009년 12월 28일 redfox

 

 

 

Posted by Lee Eunm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