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 할머니 (Moses 는 영어로는 ‘모지스’라고 발음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성서에 나오는 인물 Moses 를 ‘모세’라고 발음 하므로 우리말을 따라서 ‘모세’ 할머니라고 부르기로 한다)가 붓을 잡은 것은 그의 나이 76세였다. 앞서 밝힌 바 와 같이, 눈이 침침해져서 즐겨 하던 수놓기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할머니의 그림은, 그이가 그림 그리기를 시작한 2년 후 요술처럼 팔려나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이는 101세가 될 때까지 쉬지 않고 그림을 그렸다. 25년간 그이가 남긴 그림은 주로 그의 삶 속의 정경들이었다. 누군가가 ‘성서 속의 이야기’를 그려보면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했을 때 모세 할머니는 담담하게 대꾸했다고 한다, ‘난 내가 본 적도 없는 것을 그릴 수가 없어요. 내가 보지도 않은 것을 어떻게 그리나요?’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는 그저 ‘이야기’일뿐 그의 눈으로 생생하게 보거나 경험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것을 형상화 하는 일이 모세 할머니에게는 정직하지 못한, 혹은 자기로서는 불가능한 일로 받아들여 졌을 것이다. 모세 할머니 그림 속의 깨알 같이 그려진 사람들과, 그 주변 풍경이 구체성을 띄고 생동하는 이유는, 그것이 비록 ‘기억’에 의존한다 할지라도 생생한 경험에서 우러난 그림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의 기억은 때로 어떤 장면을 극적으로 채색하기도 하고, 어떤 장면을 까맣게 지워버리기도 한다. 우리의 기억은 비논리적인 꿈과도 비슷하다. 그렇다고 기억이 ‘허구’는 아니다. 모세 할머니의 그림은 기억 속의 마을과, 들과, 집들, 그리고 사람들을 그리고 있는데, 전문 미술 교육을 받지 않아서인지 원근법이 생략되거나 구도가 울퉁불퉁하기도 하다. 그의 그림 속 세계는 환상이다. 그러나 삶이 녹아있는 환상이다. 우리가 모세 할머니에게서 발견하는 것은 그림 기교가 아니고, 그림 이론이 아니고, 우리가 보편적으로 갖는 ‘꿈의 세계’이다. 모세 할머니가 그린 마을은 아직도 이세상 어딘가에 존재할까? 그이가 즐겨 그린 뉴잉글랜드 지방의 마을 사람 풍경은 어쩌면 이제는 그림 속에서만 존재하는 마을 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구상 어딘가 어떤 마을에서 여전히 사람들은 서로 모여서 마을 일을 의논하고, 함께 곡식을 수확하고, 함께 바느질을 하고 있을 것이다. 이 꿈의 세계를 보면서 비례나 원근법이나 구도를 따진다면, 그이야 말로 예술의 본질인 ‘꿈’에 아직 다가서지 못한 사람일지도 모른다.
여기 한 장의 그림이 있다. 45x60센티미터쯤 되는 크기의 유화이다. 보관 상태가 좋지 않아 물감이 떨어져나가고 그랬다. 멀리 산이 보이고, 꽃 길이 이어져 있고, 마당처럼 보이는 곳에 네모네모 있는데, 시골에서 자란 사람이라면 이것을 보고 멍석에 고추를 말리고 있는가 보다 하고 짐작을 할 만 하다. 왼쪽 구석에 두 소녀가 보인다. 빨간 원피스를 입은 소녀가 좀더 키가 크고, 그 곁에 살구색 원피스를 입은 소녀가 서 있다. 이 그림은 우리 엄마의 작품이다. 엄마는 60세가 되던 해에 아버지와 사별하셨고, 그리고 그 때 처음으로 그림 붓을 집어 들었다. 엄마는 왜정 때 (일제 식민지 시절에) 태어나고 자라났던 세대의 소녀들이 대개 그러하였듯 소학교를 마치고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했다. 집에서 수놓고, 바느질하고 살림을 익히다가 중매로 번듯하고 훤칠한 신랑에게 시집을 갔다. 엄마는 층층 시하에서 시누이들과 아이들을 함께 키우며 나이를 먹어갔다. 자녀들이 모두 성장하여 품을 떠나고, 마침내 남편마저 그 곁을 떠났을 때, 엄마는 오랫동안 꿈꾸어 오던 ‘그림 그리기’를 시작했다. 엄마는 애써 그린 그림을 자식들, 친척들, 친지들에게 액자까지 만들어서 선물을 한다. 엄마는 그림 공부를 하겠다며 화실에도 다니고, 전문 화가에게서 지도도 받았다. 하지만 엄마는 서양식의 그림 공부 법을 제대로 따라 하지 않았다. 엄마의 데생은 자유분방했고, 비례도 안 맞고 멋대로였다. 엄마는 기존 화단이 요구하는 ‘트레이닝’을 소홀히 한 채 붓으로 마음대로 그림을 그렸다.
그리고 십 년 후, 칠순 때 엄마의 개인전을 가질 수 있었다. 물론 엄마에게 기적은 일어나지 않았다. 엄마의 그림을 거저 달라는 사람은 많아도, 그것을 돈 주고 사려고 하는 사람은 없었다. 엄마의 개인전 소식을 듣고 고향에서 마을 사람들이 관광 버스를 타고 단체로 구경을 오기도 하였다. 인근의 학교와 유치원에서도 학생들이 단체로 그림을 보러 왔다. 고향 마을 사람들이, 일가 친척들이 엄마의 개인전에서 기뻐하며 발견한 것은 바로 그들이 잃어버린 ‘고향’의 풍경이었다. 엄마의 그림 속에는 우물가 펌프에서 물을 푸는 소녀, 장독대에서 항아리를 닦는 여인, 고추가 널린 마당, 비 오는 날 우산을 쓰고 학교에 가는 아이들. 밭을 매는 아낙네. 사람들은 듣기 좋은 ‘경기도 사투리’로 “저게 누구여? 저건 정미 아니여? 나두 저깄네!” 하며 웃고 떠들었다. 나는 타국에서 공부하느라 엄마의 전시회에도 가보지 못했다. 나중에 엄마의 행복한 자랑을 들었을 뿐이다. 하지만 내 귓가에는 내 고향 마을 사람들, 이제는 머리가 허옇게 센 그 아재비들, 오라비들, 아저씨, 아주머니들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들린다. 왜냐하면, 엄마의 그림 속에 그들이 살아 있으므로.
그림 속의 빨간 원피스를 입은 소녀는 엄마 환상 속의 자기 자신일지도 모른다. 엄마가 어린 시절 꼭 입어보고 싶었던 드레스인지도 모른다. 혹은 엄마와 친구처럼 자라난 조카들인지도 모른다. 엄마는 분명 어린 시절 친정 집 마당에서 놀던 것을 그렸다고 했다. 그런데 이 그림을 보고 있으면 그림 속의 소녀는 엄마가 아니고 내 언니 인 것 같다. 언니는 늘 빨강 치마를 입었으니까. 그리고 언니 옆에 살구색 옷을 입고 있는 소녀가 나 일거라고 생각한다. 언니 옆에는 내가 있어야 하니까. 이 그림을 보는 사람이 ‘여성’이라면 분명 그림 속에 자기 자신을 대입 시킬 것이다. 아니면 엄마나 이모의 어린 시절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엄마의 그림은 원근법이나 비율도 맞지 않고, 제멋대로 그린 것이다. 그렇지만 이 그림을 볼 때마다 나는 졸음 같은 평화를 느끼고, 내 귓가에 나직한 언니의 노랫소리가 들리며, 샘물이 흐르는 듯한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그 샘물은 내게 속삭인다, “너도 언젠가 집으로 돌아가리라…”
엄마의 그림과 모세 할머니의 '그림 이야기'속에 나오는 소녀들이 어쩐지 닮아 보인다. 초록색과 빨간색을 즐겨쓰는 모세 할머니 그림의 색감과도 비슷하고, 특히 빨간 드레스에 대한 각별한 애정도 비슷하다. 내가 모세 할머니의 달력 그림을 무심코 집어 들었던 것은 아마도 내가 이미 그런 그림에 친숙해 있었던 상태였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책방에서 모세 할머니의 책을 발견하고 덜컥 정가를 다 주고 샀을때도 나는 아마 어떤 '꿈'속에 빠져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 내 꿈은, 엄마의 그림속의 세계였다. 모세 할머니의 그림은 엄마의 꿈의 세계와 닿아 있었다. 이것은 어쩌면 '교육'에 물들지 않은 천진한 영혼들만 가질 수 있는 세상인지도 모르겠다.
'American Art History Sketch > Grandma Mo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ndma Moses 의 초상화: 스미소니안 미국 미술관 (0) | 2011.11.29 |
---|---|
모세 할머니의 일생과 스타탄생의 배경 (0) | 2009.10.03 |
Grandma Moses 1: 평생 가져 볼 수 없었던 빨간 드레스의 추억 (0) | 2009.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