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Column2011. 1. 26. 22:26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147007


요즘 한국사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한국사 교육을 강화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의견을 냈다는 기사도 나왔다. 나는 한국사 교육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기꺼운 마음으로 바라보고 있다.

미국에 오기 전, 한국에서 매주 수요일 아침이면 나는 텔레비전 앞에 앉아 눈물을 쏟곤 했다. 어느 프로그램에서 가족 찾기를 진행했는데, 미아가 되었거나 사고로 가족과 헤어졌던 사람들이 출연해 자신을 소개하며 잃어버린 가족을 찾는 것이다.

그런데, 가족을 찾는 사람들이 대개 이런 이야기를 한다. “언니, 나는 내가 누구인지 기억하기 위해 매일 엄마, 아버지, 언니, 동생, 내 이름, 그리고 우리 마을 이름을 외웠어. 잊어버릴까 봐 매일 외웠어!”

고아원으로 혹은 남의 집으로 이리저리 떠도는 삶을 살아온 그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간직하기 위해 주문을 외듯 끝없이 이름들을 외웠다는 것이다. 안 그러면, 나중에는 자기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증명할 길도 없어져 버리니까 말이다. 이는 눈물겨운, 자기 정체성을 지키려는 몸부림이었다.

나는 ‘한국사’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바라보는 편이다. 한국사는 바로 내 핏줄에 흐르는 내 삶의 이야기이다. 내 삶의 이야기를 모르면 나의 정체성이 애매해진다.

혹자는 미국 역사는 기껏 300년도 안 되는데 한국사는 반만년이라서 한국사 공부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따분하고, 외울 것만 많아서, 교육이 힘들다고도 설명한다. 그런데, 이런 논의에 반대 의견을 말한 고등학생이 있다. 우리 집 작은 놈은 현재 12학년인데 열 살까지 한국에서 교육을 받았다. 어린 녀석이 한글을 깨치면서 한국사 관련 만화를 비롯해 온갖 책을 들여다보더니 어른들도 모르는 시시콜콜한 한국사 이야기를 천자문 외듯이 혼자 종알거리곤 했다. 그러다가 미국으로 와서 적응하기가 힘이 들었던 듯, 좋아하던 역사책들도 손에서 놓고 말았는데 그래도 여전히 가끔 집에 굴러다니는 한국사책도 읽고, 학교에서 배우는 미국사 공부도 열심히 하고 그런다.

녀석의 설명으로는, 한국사는 반만년이나 되니까, 큰 줄기를 중심으로 배우거나 외우게 되고, 미국사는 300년 안팎이니까 시시콜콜한 것까지 들여다봐야 하기 때문에 아주 복잡하다고 한다. 그러니 학교에서 공부하기에는 한국에서 한국사 배우기나 미국에서 미국사 배우기나 그 난이도에서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이런 반문도 가능하다. 한국사 배우기가 어렵다면 땅덩어리 크고 역사도 다채로운 중국의 학생들은 얼마나 괴로울 것인가? 역사 공부를 포기할 것인가?

미국의 역사책은 백과사전처럼 두껍고 내용이 알차고, 한국의 역사책은 암기용으로 외울 것 많고 내용이 충실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학교에서 반드시 백과사전같이 두꺼운 책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특히나 요즘처럼 학교나 집에서, 길에서조차 쉽게 인터넷을 활용 할 수 있는 정보 사회에서 책이 반드시 두꺼워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관심 있으면 인터넷, 도서관에서 믿을만한 정보를 취하면 된다. 나 역시 책 보다가 뭔가 궁금하면 인터넷에서 곧바로 믿을만한 자료를 찾아 살핀다. 교육 방법과 자료 탐구의 문제이지 교과서의 두께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핵심적인 내용이 정리된 얇고 작은 책이 공부하기에 부담이 적을 수도 있다. 공부할 자료는 얼마든지 널린 세상이므로.

대학 입학을 위해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한다거나 각급 공무원 시험에서 국사과목을 중요 과목으로 다시 끌어올리자는 논의를 환영한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즐겁고 의미 있는 한국사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국사를 아는 것은 나의 근본을 아는 것이고, 나의 정체성을 형성시켜주며, 그것이 내가 살아가는 힘이 된다. 우리가 근본을 아는 일에 힘썼기에 약소국이면서도 오늘날의 도약을 이룬 것이 아니겠는가?

이 은 미

Posted by Lee Eunmee
American Art History Sketch2009. 12. 5. 09:45

http://www.claremontmckenna.edu/hist/jpetropoulos/arrow/holocaust/Franklin_Roosevelt.jpg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1882-1945)은 1932년에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래로, 죽을때까지 (1932-1945) 미국대통령직을 유지했다. 그는 미국에서 유일무이하게 4선 까지 이른 사람이며, 미국 대통령들중에서 3선 이상을 한 유일한 사람이다.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이후로 대통령을 2선까지만 가능하게 하는 법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미국이 어떤 지도자의 '독재'의 가능성에 눈을 뜨고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고안해낸 방법이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12년도 넘는 기간동안 미국을 통치하였는데, 경제 대공황때 그가 취한 경제정책 (소위 뉴 딜 정책으로 알려져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세세한 내용까지는 차치하고라도, 그가  여러가지 국책사업을 펼치가 국가가 주도하는 경제정책을 펼쳐서 경제난을 이겨내려 했다는 것은 중고등 학교 사회책이나 세계사책에도 소개되는 내용이다 (나는 중학교때 이런 내용을 배웠던 것으로 기억한다.)  미국에서는 Social Security (사회복지) 제도가 있는데 이 사회복지법 (social security act)을 최종 승인하고 시행한 대통령이 바로 이 루즈벨트 대통령이다.   루즈벨트 대통령에 의해 기초생계를 보장하는 '사회복지'의 초석이 마련되었다고 한다면,  '의료복지'의 초석을 만들고자 하는 이가 현재의 '오바마' 대통령이다. (그가 미국 역사상 얼마나 어마어마한 일을 저지르려고 하는 것인지...) 

 

 

 

바로 이러한 '국책사업,' '국가 주도의 경제정책,'  사회복지 정책등을 이유로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을 '사회주의자'라 평하는 이들도 있다.  미국의 가장 '위대한 대통령'군에 속하는 '최장기 대통령직'을 수행한 대통령이 '사회주의자'라고?  우리는 이런 의문을 품을수도 있다.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대략 간단하게는 사회 통치 시스템의 측면에서 '민주주의'의 대척점에 '사회주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수가 동등한 권리를 누리면서 동등하게 통치하는 시스템이 '민주주의'라면,  소수의 '통치집단'이 사회 운영을 관장하고 계획을 세우고 시민들에게 각자의 역할을 분담시키는것이 '사회주의'적 통치체제라 할수 있다.  경제 구조적으로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서로 상반된 방식으로 굴러가는데, 대개 민주주의적 방식과 자본주의 체제가 서로 궁합이 맞아보이고,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체제가 상통해보이므로 우리가 흔히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뒤섞어서 인지하기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우는 '대통령제'를 탄생시킨 미국, 자유 경제와 자본주의의 꽃으로 알려진 미국땅에서 미국을 부흥시킨 존재로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이 거론되고, 하필 그의 정책과 관련하여 그를 '사회주의자라 부른다니 이것은 무슨 아이러니란 말인가?

 

...그래서, 우리는 사회주의는 이것이고 민주주의는 저것이다 라던가, 자본주의는 이것이고 공산주의는 저것이다라는 양분법식 생각에서 한걸음 물러설 필요가 있어 보인다.  루즈벨트는 국가의 경제위기를 극복하는데 노력했고,  사회주의적 방식이라  일컬어진 뉴딜정책은 소기의 효과를 발휘했으며, 뉴딜정책의 발판 위에서 미국은 다시 '민주주의'와 '자유경제' '자본주의'의 꽃을 활짝 피울수 있었던 것이니...

 

 

 

http://americanart.textcube.com/65

스미소니안 국립 초상화 박물관에 걸린 벤샨의 루즈벨트 대통령 초상화

 

 

 

(미국미술 공부하다 잠시 생각) 2009년 12월 4일 RF

'American Art History Ske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stman Johnson, The Early Scholar  (0) 2009.12.15
워싱턴 National Archives 의 벽화  (0) 2009.12.14
Joshua Johnson  (0) 2009.12.04
Edward Hicks: 조지 워싱턴  (0) 2009.12.04
Edward Hicks: Quick Quiz  (0) 2009.11.26
Posted by Lee Eunmee
Books2009. 9. 18. 04:46
Made in America

Made in America: An Informal Histoy of the English Langauge in the United States

이 책에는 미국사의 여러가지 장면들에 대한 잘못된 상식, 혹은 유래 등이 유머러스하게 설명되어 있다.  유쾌하게 읽히는 책이다.  그런데 한가지 문제라면, 빌 브라이슨이 하도 해박하여 별별것을 다 알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식있는 미국인들이 알만한 내용에 대해서 그 허실을 구구절절이 설명을 해 주는데, 그 일반적인 미국인들의 상식은 '미국인이 아닌 사람이 보기에 뭔 소리인지 알 수 없는'것들도 있다.  미국인들만 알 수 있는 에피소드 같은 것 들.  그러니까, 미국사의 어떤 부분은 사실은 잘 못 알려진 것이거나 과장된 것이라고 그가 아주 웃기게 설명할때, 그 미국사의 어떤 부분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라면, 난감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이런 책은, 미국인이 아닌 사람들의 경우, 쉽게 씌어진 간단한 미국사책과 병행해서 읽을때, 더 이 책의 맛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가령 벤자민 프랭클린이 여자 밝힘증 늙은이였다던가, 독립 선언서 초안을 작성한 제퍼슨은 사실은 버지니아 헌법에서 많은 부분을 베껴왔다던가, 미국이 독립선언을 1776년에 했지만, 그 때 독립선언문이 낭독된 것도 아니고, 전원이 서명을 한 것도 아니었고.....

상식의 허를 찌르는 내용을 담은 책은, 상식적인 내용을 담은 책을 읽고 나서, 혹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알고 있을때 더욱 매력적인 것이다.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Thinking  (0) 2009.09.25
Philadelphia Museum of Art: Handbook of Collections  (1) 2009.09.24
이갸기 미국사  (0) 2009.09.18
미국 미술, 문화 관련 책들이 도착했다  (0) 2009.08.23
Designs on the Heart  (0) 2009.08.21
Posted by Lee Eunmee
Books2009. 9. 18. 03:50

 

 

http://www.yes24.com/24/goods/18360

청솔역사교육연구회 | 청솔출판사

 

우리집 창고에서 발견한, 커버도 찢어지고 없는 '이야기 미국사'.  이틀간 재미있게 읽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미국의 어느 시대에 어떤 그림이 집중적으로 소개가 되는지, 왜 그 시기에 그런 미술이 각광을 받게 되는지, 왜 어느지역에서 발표된 그림이 특히 의미가 있는 것인지 이런 문제들을 사색하는 시간을 가질수 있었다.

 

가령 미국미술사 책을 읽다보면, 시대상황에 대한 스케치가 휙휙 지나가는데, 또 그것을 내가 구체적으로 잘 아는 것도 아니다.  사실 확인을 할 필요가 있는데, 그러다보면 미국사책을 뒤지거나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보거나 해야 한다. 두가지를 병행하는 일이 어느때는 꽤 성가시다. 특히 나처럼 성격이 급하고, 한가지를 집중적으로 해야 하는 사람에게는 이것 저것 차분하게 챙기는 일이 번거롭기도 하다.  결국, 그래서 내가 이 책이 눈에 띄었을때, 냉큼 읽기 시작한 것이리라.

 

이 책은 청소년들을 위해 '대략 간단하게' 스케치 한 미국사라고 할수 있다. 활자가 커서 시력에 부담도 안주고, 그리고 내용이 쉬운 말로 정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큰 그림을 파악하기에 편리하다.  물론 구체적이고 세밀한 역사는 소개가 안된다. 그런데, 그 구체적이고 세밀한 역사 부분은 오히려 내가 더 잘 인지하는 경우도 있다. 여러가지를 잡식성으로 읽거나 배웠으니까.  그 여러가지 내가 세밀하게 아는 내용들을 이 간단하게 정리된 역사의 어느 페이지에 삽입시키면 되는것이다. 그러면 나는 큰그림과 세밀화 모두를 머리속에 간직할 수 있게 된다.

 

성인이 교양수준에서 미국 역사를 대충 살피기 위해서 읽기에, 이 책은 안성맞춤이다.  나는 이 책을 다른 미국미술사 책 옆에 놓아두고 필요할때마다 페이지를 열어 내 기억을 환기시킬 생각이다.

 

물론 미국사를 이해하기 위해 이것 한권 가지고는 곤란하다. 그러나 '시작점'으로서 아주 좋은 책이다.  어떤 분야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쌓아갈때, 내가 취하는 방법은, 아주 읽기 쉽게 정리된 간단한 책에서 출발하여, 그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좀더 상세한 것을 찾아 보고, 그리고 머릿속에 구체적인 '지도'가 그려지면, 제법 권위있는 안내서로 들어가서 여기저기 필요한 부분을 찾아 보는 것이다. 미국사 출발 안내서로 이 책을 추천 할 만하다. (주로 역대 대통령에 대한 서술을 하는 식으로 미국사의 흐름을 서술하고 있다).

 

september 17, 2009

 

Posted by Lee Eunmee
American Art History Sketch2009. 9. 17. 08:23









미국 미술의 이해를 위해서는 미국의 역사와 사회를 이해하는 안목도 필요하다.  요즘 미국사책을 읽고 있는데, 책 읽다 말고 문득,  브레히트의 시가 떠올랐다. 음, 30년대 빈민들의 참상을 그린 그림들을 스케치할때,  브레히트의 이 시를 인용하면 의미있을 것 같다.

 
임시 야간 숙소


        베르톨트 브레히트


 

듣건대, 뉴욕
26번가와 브로드웨이의 교차로 한 귀퉁이에
겨울철이면 저녁마다 한 남자가 서서
모여드는 집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행인들로부터 동냥을 받아 임시야간숙소를 마련해 준다고 한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이 세계가 달라지지 않는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나아지지 않는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착취의 시대가 짧아지지 않는다.
그러나 몇 명의 사내들이 임시야간숙소를 얻고
바람은 하룻밤 동안 그들을 비켜가고
그들에게 내리려던 눈은 길 위로 떨어질 것이다.


 

책을 읽는 친구여, 이 책을 내려 놓지 마라.
몇 명의 사내들이 임시야간숙소를 얻고
바람은 하룻밤 동안 그들을 비켜가고
그들에게 내리려던 눈은 길 위로 떨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으로는 이 세계가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나아지지 않는다.
그러한 방법으로는 착취의 시대가 짧아지지 않는다.


(1931년 作)
Posted by Lee Eunm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