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ry/Life2019. 1. 17. 01:50

내 '눈 먼 고양이 폴'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제 외출하여 돌아와 문밖을 내다보니 저녁 늦게 폴이 문 밖 고양이 타워에 웅크리고 앉아있었다. 내가 돌아와 밥을 주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모양이다. 얼른 고양이깡통과 마른먹이를 가져다 그릇에 담아주니 배가 고팠던 듯 허겁지겁 먹는다. 그 먹는 모습이 참 예뻤다. 눈 먼 고양이 폴이 문 밖에 와서 나를 기다리고 내가 주는 먹이를 먹는 모습이 내 가슴을 따뜻하게 했고, 내 심장은 기쁘게 고동쳤다.


"나비야, 나비야, 너는 그냥 살아있기만 하면 돼. 네가 살아있다는 사실이 나는 너무 좋아!" 


밥을 먹고 있는 녀석의 잔등을 바라보며 나는 혼잣말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문득 깨달았다. 


우리가 생명가진 존재들, 내 가족이나 이웃 사람들에 대해서도 이런 방식으로 대할 수 있는거구나. 


눈 먼 야생고양이의 삶은 고단하다. 그런데 '실용성' 면에서 보면 세상에 이렇게 무능하고 쓸모없는 존재도 없다. 눈이 멀었으니 간신히 인간이 제공하는 먹이나 먹으며 생존 할 뿐, 새나 다람쥐를 사냥하기도 어렵다. '실용성' 면에서 보면 도대체 이 동물이 살아있을 이유가 없다. 먹이만 축 낼 뿐이다. 


나는 내가 후원하고 있는 지적장애 아이 (내 딸)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그 애는 아무리 잘 입히고 잘 먹이고 잘 교육 시킨다고 해도 도대체 희망이란게 있을까? 평생을 건강하게 별 탈없이 살아온 내 입장에서 극한의 장애를 가진 아이에 대한 나의 시각이 이런 식이다. 그냥 하루하루 먹고, 배우고, 시간을 보내고 그냥 살아있을 뿐, 이 아이는 장래를 위해서 무얼 계획하고 실행할까?  나는 후원을 하면서도 난감한 편이었다. 밑빠진 독에 물 붓기 하듯 희망이 없는 곳에 뭔가 절망적으로 희망의 물을 붓고 있는 애매한 상황처럼 보였다. 


그런데, 내가 눈 먼 고양이 폴에서 속삭였던 독백에서 내가 갖고 있는 난감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았다. 그냥 잘 살아있기만 하면 돼. 뭔가 위대한 일을 하지 않아도, 어른이 안되어도, 일꾼이 되지 않아도, 지능이 낮아서 뭔가 사회에 기여하는 구성원이 되지 않아도, 아무것도 안 해도 그냥 "네가 살아 있어서 세상이 더욱 눈부시게 빛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하느님이 보시기에 모든 생명이 그러할 것이다. 


살아있어 주기만 해. 네가 살아있다는 것이 내게 가장 큰 기쁨이다. 


내가 난감해 하고 있는 신체적/지적 장애인에 대하여, 혼자서 살아가기 힘든 노인 인구에 대해서, 그 외에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힘없는 이웃들에 대하여 나는 '해답'을 구하려고 할 필요는 없다. 인생에 해답이란 없다. 태어나서 살다가 죽을 뿐이다. 건설적이고 실용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어떤 '해답'을 찾기보다는 '현재' 태양아래에서 살아 숨쉬며 나와 동일한 시간과 공간을 나눠 쓰는 내 이웃에 대하여 나는 예의를 갖추고 따뜻한 말을 건네거나 하다못해 웃어주면 된다. 그러니까 절망 해서는 안된다. 우리 모두가 죽어야 하는 존재이므로 이미 절망을 안고 태어났으므로 그 이상의 절망은 옥상옥. 무의미할 뿐이다. 살아있는 동안은 살아 있음을 서로 축하해주면 된다.  어차피 우리는 다 죽는다. 잘난 사람이나 못 난 사람이나.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나. 고학력자나 저학력자나. 남자나 여자나. 차이는 없다.  슬퍼할 일도 없다. 게임은 공정하다. 기뻐할 일이다.








Posted by Lee Eunmee